음주 습관이 있다고 답한 102명은 음주 습관이 없다고 답한 83명에 비해 항체값이 15% 정도 낮았다. 흡연자도 비흡연자에 비해 항체값이 낮았지만 음주에 따른 영향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음주 습관이 있다고 답한 102명은 음주 습관이 없다고 답한 83명에 비해 항체값이 15% 정도 낮았다. 흡연자도 비흡연자에 비해 항체값이 낮았지만 음주에 따른 영향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술 마시는 음주 습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샷)에 따른 항체 형성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국제의료복지대학의 후지타 레쓰((藤田烈) 준교수 등은 지난해 12월 화이자 제품으로 3차 백신을 접종한 21~77세 남녀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중화항체의 양 등 항체값을 조사했고, 음주 습관이 있다고 답한 102명은 음주 습관이 없다고 답한 83명에 비해 항체값이 15% 정도 낮았다.

후지타 준교수는 "음주에 의한 간 기능 저하나 면역세포의 70%가 모여 있는 장에 대한 부담 등이 항체값 상승을 방해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술 마시는 음주 습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샷)에 따른 항체 형성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술 마시는 음주 습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샷)에 따른 항체 형성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흡연자도 비흡연자에 비해 항체값이 낮았지만 음주에 따른 영향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한편, 조사 대상 187명은 3차 백신 접종 후 항체값이 평균 34배 늘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항체값이 높게 나타났다. 고령자는 접종 후 젊은층에 비해 항체값이 낮았지만 3차 접종으로 충분히 상승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