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바퀴 공중 회전 앞세운 '스노보드 황제' 숀 화이트
올림픽 세 번째 금메달 수확
2연속 세 바퀴 회전 기술은 여자부에선 클로이 김만 가능
'호리병주법' 선보인 김기훈
한국 쇼트트랙 첫 금메달 안겨

미국의 ‘스노보드 황제’ 숀 화이트(32)는 14일 평창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종목에서 비장의 무기인 ‘프런트사이드 더블콕 1440’과 ‘더블 맥트위스트 1260’을 앞세워 통산 올림픽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프런트사이드 더블콕 1440은 정면을 주시한 채 공중에서 네 바퀴를 도는 기술이고 더블 맥트위스트 1260은 몸을 뒤틀어 세 바퀴 반을 도는 기술이다.
ADVERTISEMENT
같은 종목 여자부에서 98.75점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금메달을 따낸 클로이 김(18)의 ‘2연속 1080도 회전’도 대표적인 필살기다. 두 번 연속으로 공중에서 세 바퀴를 도는 이 기술은 여자부에서 클로이 김만 가능하다.
스키 모굴 종목에서는 한국 대표선수인 최재우의 ‘재우그랩’이 있다. 재우그랩(7oGA, off Grab Axis)은 두 번째 점프대 공중에서 두 바퀴 돌고 손으로 스키 앞부분을 잡는 기술이다. 원래 가점은 없었지만 최재우의 기술이 깔끔하다보니 가점이 붙기 시작했다. 하지만 난도가 높아 이번 대회에서도 최재우가 재우그랩을 하다 넘어지면서 3차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이번 대회에서 최재우뿐 아니라 호주, 카자흐스탄 등 다른 나라 선수들이 응용했다. 캐나다의 미카엘 킹스버리는 옆으로 두 바퀴 회전하는 ‘bdF(더블 풀 트위스트)’를 앞세워 같은 종목에서 우승했다.

남자부 정상급 선수들은 4연속 회전, 즉 ‘쿼드러플’ 점프가 최정상급 선수와 상위 선수를 가르는 기술이다. 한국의 차준환은 쿼드러플 살코를, 일본의 하뉴 유즈루는 쿼드러플 러츠를 필살기로 내걸고 있다. 살코는 빙판 위를 돌 때 안쪽 뒷날에 힘을 주면서 도약하는 기술이다. 하뉴는 이 기술을 내세워 세계랭킹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