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17.01.28 13:33
수정2017.01.28 13:33
나스닥지수가 마감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27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나스닥 지수는 5.60포인트(0.10%) 높은 5,660.78에 장을 마감했다.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3포인트(0.04%) 하락한 20,093.78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9포인트(0.09%) 낮은 2,294.69에 마감했다.3대 지수는 이날 혼조세로 출발해 장중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최근 급등에 따른 부담과 경제 지표 실망 등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미 상무부는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가 연율 1.9%(계절 조정치)를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 2.2%를 밑돈 것이다. 지난해 3분기 GDP 성장률 3.5%는 수정되지 않았다.2016년 연간 경제성장률은 1.6%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모습을 나타냈다.미국 성장률의 역사적 평균은 3.3%이며 11년째 연간 성장률이 3.0%를 넘어서지 못했다.4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연율 2.2%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연율 1.3% 높아졌다. 이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물가 목표치 2%를 하회한 것이다.많은 경제학자는 올해 미국 경제가 2%를 안팎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지난 12월 미국의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 제품) 수주도 국방 관련 수주의 큰 폭 감소로 하락세를 나타냈다.미 상무부는 12월 내구재수주실적이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고 발표했다.WSJ 조사치는 2.3% 증가였다.12월 변동성이 큰 국방 자본재 수주는 33.4% 급락해 2014년 5월 이후 가장 큰 월간 하락세를 나타냈다. 국방을 제외한 수주는 1.7% 증가했다.2016년 한해 내구재 수주는 전년 대비 0.3% 하락했다.11월 내구재수주는 기존 4.5% 감소에서 4.8% 감소로 수정됐다.다만, 1월 미국 소비자들의 신뢰도는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미시간대에 따르면 1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최종치는 전월 98.2에서 98.5로 상승했다. WSJ 조사치는 98이었다. 이달 초에 나온 예비치는 98.1이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재정 정책 확대 등에 대한 기대가 소비자태도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디지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브라질 정부 "美-멕시코 국경 장벽 갈등 우려"ㆍ`썰전` 이혜훈 "김기춘 朴대통령에 `주군` 호칭.. 놀랐다"ㆍ나달, 호주오픈 결승 진출… 페더러와 `빅매치` 성사ㆍ`신혼일기` 안재현♥구혜선, 꿀 떨어지는 일상.. "여보 한 번만 치자"ㆍ농협 거래중단 30일까지..ATM·모바일 뱅킹 등 사용 불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