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6] "평생 최소 세번은 직업전환 필요해질 것…40세부터 직업 훈련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래 일자리 변화 대비하려면…
야나가와 노리유키 일본 도쿄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술 발전에 따라 한국과 일본에서도 퇴직 연령이나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고 있다”며 “생애주기에서 최소한 세 번의 직업 전환이 필요해질 것”이라고 3일 말했다. 직업 주기를 20~30대, 40~50대, 60대 이상으로 나누는 새로운 고용 방식도 제안했다. 어떤 식으로든 혁신이 없다면 중장년층은 장기간 근로에 시달리고, 청년층은 니트(NEET·취업과 훈련 모두 하지 않는 무직자)족에 머무르는 세대 간 불평등이 격화할 것이란 지적이다.
일자리 밖으로 몰리는 한국 청년
‘글로벌 인재포럼 2016’의 셋째 날 주제는 미래의 일자리 변화에 집중됐다. ‘세대 간 일자리 상생의 해법’을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레몽 토레 국제노동기구(ILO) 국제노동동향연구소 소장은 “전 세계적으로 세대 간, 남녀 간 일자리 불평등이 심해지면서 사회적 갈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글로벌 고용시장을 분석한 결과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난 인구의 56%가 청년(15~24세) 또는 고연령층(55~64세)이었다. 그는 “이들과 완전고용에 가까운 30~40대 남성과 비교하면 고용률 격차가 크다”며 “한국에서의 격차는 글로벌 평균보다도 심하다”고 분석했다.
대학 진학률이 높은 한국에서는 고학력 청년의 실업률이 고질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생산성을 낮출 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통합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열심히 공부하면 사회가 일자리를 줄 것이라는 믿음이 깨지면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한국의 경우 기존 세대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건강을 해치고, 청년은 취업 기회에서 계속 배제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 개혁만이 대안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토레 소장은 “한국과 프랑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직업 교육이 대학 교육보다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 같은 인식을 깨는 한편 창업 정신을 키워 청년층과 고연령층 모두 혁신을 이끌게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40세부터 직업 훈련을”
야나가와 교수는 한국과 일본이 겪는 ‘고용의 위기’를 조목조목 진단해 주목받았다. 일생을 한 직장에서 일하는 전통적인 고용 구조가 인공지능, 로봇산업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위기에 처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산업 변화가 유례없이 빠르다는 것이 문제”라며 “기존 직업을 가진 중장년 핵심 인력도 직업 훈련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이 인력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는 만큼 역량을 갖춘 인력이 필수라는 지적이다.
고령화로 고민하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건강 상태가 좋아지면서 70~80대에도 일하는 데 무리가 없어졌다. 그렇다고 이들이 기존 일자리를 유지한다면 젊은 층의 기회가 줄어든다. 그는 “게다가 새 기술을 익히는 데 60대는 이미 늦으므로 다른 산업이나 기업에서 기회를 찾게끔 도와주는 게 낫다”며 “재교육은 40~60세에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직업 변화 주기를 20~30대, 40~50대, 60대 이상으로 나누는 방안도 제시했다. 변화 시기마다 고용주와 협의해 기존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다른 직업으로 전환하게끔 선택지를 주는 방식이다. 그는 “경쟁에 내몰린 기업이 직업교육을 하기는 어려운 만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새로운 교육제도를 다 같이 모색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낮은 여성 고용률과 비정규직 증가와 같은 국내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토론에 참여한 김문희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대표부 공사는“양육 문제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재취업에 어려움이 크고 취업을 하더라도 비정규직인 경우가 많다”며 “모든 사람에게 미래 노동시장에 대비해 훈련을 시키고 평생 학습을 강화하는 등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글로벌 인재포럼 2016’의 셋째 날 주제는 미래의 일자리 변화에 집중됐다. ‘세대 간 일자리 상생의 해법’을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레몽 토레 국제노동기구(ILO) 국제노동동향연구소 소장은 “전 세계적으로 세대 간, 남녀 간 일자리 불평등이 심해지면서 사회적 갈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글로벌 고용시장을 분석한 결과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난 인구의 56%가 청년(15~24세) 또는 고연령층(55~64세)이었다. 그는 “이들과 완전고용에 가까운 30~40대 남성과 비교하면 고용률 격차가 크다”며 “한국에서의 격차는 글로벌 평균보다도 심하다”고 분석했다.
대학 진학률이 높은 한국에서는 고학력 청년의 실업률이 고질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생산성을 낮출 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통합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열심히 공부하면 사회가 일자리를 줄 것이라는 믿음이 깨지면 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한국의 경우 기존 세대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건강을 해치고, 청년은 취업 기회에서 계속 배제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 개혁만이 대안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토레 소장은 “한국과 프랑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직업 교육이 대학 교육보다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 같은 인식을 깨는 한편 창업 정신을 키워 청년층과 고연령층 모두 혁신을 이끌게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40세부터 직업 훈련을”
야나가와 교수는 한국과 일본이 겪는 ‘고용의 위기’를 조목조목 진단해 주목받았다. 일생을 한 직장에서 일하는 전통적인 고용 구조가 인공지능, 로봇산업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위기에 처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산업 변화가 유례없이 빠르다는 것이 문제”라며 “기존 직업을 가진 중장년 핵심 인력도 직업 훈련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이 인력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는 만큼 역량을 갖춘 인력이 필수라는 지적이다.
고령화로 고민하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건강 상태가 좋아지면서 70~80대에도 일하는 데 무리가 없어졌다. 그렇다고 이들이 기존 일자리를 유지한다면 젊은 층의 기회가 줄어든다. 그는 “게다가 새 기술을 익히는 데 60대는 이미 늦으므로 다른 산업이나 기업에서 기회를 찾게끔 도와주는 게 낫다”며 “재교육은 40~60세에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직업 변화 주기를 20~30대, 40~50대, 60대 이상으로 나누는 방안도 제시했다. 변화 시기마다 고용주와 협의해 기존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다른 직업으로 전환하게끔 선택지를 주는 방식이다. 그는 “경쟁에 내몰린 기업이 직업교육을 하기는 어려운 만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새로운 교육제도를 다 같이 모색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낮은 여성 고용률과 비정규직 증가와 같은 국내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토론에 참여한 김문희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대표부 공사는“양육 문제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재취업에 어려움이 크고 취업을 하더라도 비정규직인 경우가 많다”며 “모든 사람에게 미래 노동시장에 대비해 훈련을 시키고 평생 학습을 강화하는 등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