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낮출 수 있는 지 실험
핀란드 사회보장국(KELA)은 내년부터 복지수당을 받고 있는 생산가능인구 중 2000명을 무작위로 뽑아 월 560유로의 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대상자는 25~58세 성인 중 2016년 11월 기준으로 핀란드에 거주하는 자다. 실업보호법에 따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어야 한다. 시험 운영 기간은 2018년까지다. 지급되는 기본소득에 세금은 붙지 않는다. 560유로는 실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지급되는 사회보장비 중 낮은 수준을 근거로 책정됐다. 핀란드 정부는 기본소득이 지급되지 않는 통제집단도 함께 구성해 두 집단의 근로 의욕을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기본소득 정책은 중도우파 성향의 유하 시필레 총리가 15개월 전 집권하며 내세운 공약이다. 기본소득이 보장되면 오히려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KELA는 “시험 운영의 주요 목표는 고용률을 높이는 것”이라며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대신 현 사회보장제도를 줄일 수 있는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표적 복지국가인 핀란드의 실업률은 9.5%며, 청년 실업률은 20% 이상이다.
핀란드의 실업률이 높은 이유는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국민이 저임금 노동을 꺼린다는 점이 꼽힌다. 핀란드 정부는 장기적으로 실업급여 등 다른 복지혜택을 줄이는 대신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복지정책을 구상하고 있다.
ADVERTISEMENT
핀란드의 기본소득 시험 운영은 지난 6월 스위스 국민에게 월 2500스위스프랑(약 288만원)을 주는 안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된 직후 나온 것이어서 성공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