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가 살린 경기] "G2 리스크 장기간 지속될 것…가계·기업 부채구조 개선해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23일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성장둔화 등 신흥국이 직면한 리스크(위험요인)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구조적 변화”라며 “각국이 이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서울 연세대에서 열린 ‘한국은행-연세대 금융안정 평가와 중앙은행에 대한 정책 시사점 콘퍼런스’에서다. 이 총재는 “소위 G2(미국, 중국) 리스크로 인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며 “글로벌 성장경로에 관한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대규모 자금이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흘러가면 신흥국은 금융과 실물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총재는 “신흥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은 자국통화 절하(가치 하락), 주가 하락 등 금융시장의 불안을 초래할 것”이라며 “시장금리가 (미국 금리에) 동조해 오르면 실물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금융·실물 불안과 성장동력 약화는 자원수출국과 아시아 신흥국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는 “중국의 수입 수요가 감소하고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약세를 나타냄에 따라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수출국의 금융·경제 여건이 악화될 것”이라며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신흥국의 비중이 과거보다 크게 높아진 점을 감안할 때 신흥국의 경제적 어려움은 세계 경기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한국을 포함한 많은 신흥국이 경상수지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환율 유연성 확대 등으로 대외건전성을 제고했지만 해외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해선 앞으로 금융안정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노동시장 구조개혁, 내수기반 확충 등을 통해 국내 경제의 체질을 강화해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정책당국은 가계부채를 적절히 관리하고 기업 부채의 취약성 점검,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통해 부채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