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 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로 유지했습니다.



등급전망도 기존의 `안정적`을 유지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S&P가 우호적인 정책환경, 양호한 재정건전성, 견실한 대외채무구조를 감안해 현행 유지를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정책의 효율성과 안정성, 예측가능성이 최근 어려운 대외 여건속에서도 한국경제의 발전과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대부분 흑자를 기록 중인 재정수지와 낮은 수준의 정부부채에도 높은 점수를 줬습니다.



또 순대외채권국으로 경상수지 흑자, 원화의 활발한 국제적 통용 등이 한국의 외채관련 부담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통일 관련 우발채무는 한국 신용등급의 취약요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S&P는 "만약 성장률 상승으로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선진국 수준으로 늘어나고 단기외채 비중이 줄어 국내 은행의 대외건전성이 높아지면 신용등급은 상향조정될 수 있다"며 밝혔습니다.



하지만 "급진적 통일가능성의 고조, 북한리스크 심화, 공기업 부채 문제 등은 신용등급 하향요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9월 현재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S&P가 A+(안정적), 피치가 AA-(안정적), 무디스가 Aa3(안정적)로 각각 평가하고 있습니다.


김택균기자 tg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화성인 초고도비만녀 사망‥ 모텔서 남자친구가 발견 `네티즌 충격`
ㆍ[포토] 이민정 프라하, 결혼 후 첫 화보 `매혹적인 새신부`
ㆍ많이 먹어도 살 안찌는 비결!‥섭취량 2/3를 물로?
ㆍ이종혁 큰아들 탁수, 정갈한 웨이브헤어에 "신사 다됐네"
ㆍ올해 나라빚 이자 20조원‥국민 1인당 40만원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