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와 트위터 등에 따르면 2009년 4월24일 당시 양정례 의원을 비롯한 친박 계열 의원들은 투표시간을 투표일 당일 0시부터 24시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친박연대 비례대표 1번으로 18대 국회 최연소 의원이었으나 공천 비리로 당선 취소된 양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양 의원을 비롯해 노철래 정영희 송영선 박기춘 강운태 손범규 송민순 김을동 정하균 의원 등 10명이 함께 발의했다.
ADVERTISEMENT
이들은 법안에서 "투표 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한해 생업에 종사하는 선거인이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며 "선거권 행사의 편의를 위해 투표시간을 선거일 0시부터 24시까지 연장하자"고 제안했다.
투표 마감시간을 연장하자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오후 6시→9시)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오후 6시→8시) 측 안보다도 훨씬 강한 내용이다.
ADVERTISEMENT
이 법안은 18대 국회 회기가 끝남에 따라 임기만료 폐기됐다.
네티즌들은 "친박 의원들이 24시간 안으로 선거법 투표시간 변경안을 발의했다"며 SNS 등을 통해 이 사실을 주변에 알리고 있다. 최근 야권의 투표시간 연장 요구에 별다른 코멘트를 하지 않고 있는 박 후보에 대한 간접적 비판인 셈이다.
이에 대해 김준석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친박 계열 의원들이 발의했다 해도 박 후보 측의 공식 입장이라 할 순 없다" 며 "법안은 한 회기 동안에도 1만 건 이상 발의되는데 이 한 건에 대해 왜 제의해 놓고 이행하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