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인기영합책 불지르는 격
이인실 < 서강대 교수·경제학 insill723@sogang.ac.kr >
정부가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을 내놓을 때만 해도 801조4000억원(2011년 3월말 기준)에 달하던 가계부채 규모가 올해 6월 말 921조9000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그 증가속도는 현저히 둔화됐다. 올해 들어 상반기까지 1.1% 증가해 지난해 상반기 증가율 3.6%에 비해 2.5%포인트나 낮아진 것이다. 무섭게 치솟던 증가율이 꺾인 것은 다행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문제는 경제 전체적으로 가계대출에 대한 수요압력이 높은 상황에서 금융권의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주로 해 가계부채 총량을 줄이는 등 미시적 대책이 펼쳐졌다는 점이다. 그러다보니 증가율이 둔화됐다고 하나 풍선효과가 작용해 노령자, 자영업자, 저소득자 등 사회 취약계층은 제도권에서 밀려나 부채 위험성은 더 높아졌다.
최근 들어 가계부채발 공포영화의 분위기를 더 스산하게 만드는 것은 빠르게 냉각하고 있는 국내경기와 더불어 전체 가계대출의 45.5%인 395조4000억원이나 되는 주택담보대출의 담보가치 급락 현상이다. 국토해양부의 수도권 실거래가 지수를 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2008년 7월의 최고치 대비 수도권 대형아파트 가격은 16.8%나 하락했다. 수도권 주택의 낙찰가율은 금년 들어 6월까지 지난해 말에 비해 4.0%포인트, 아파트 경우는 4.9%포인트나 하락했다. 설상가상으로 과거 가장 왕성하게 주택을 매수하던 실수요계층인 가구주 35~54세 세대의 주택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고 이들의 인구비중도 감소하고 있다. 가계부채가 금융권에서 노력한다고 해도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ADVERTISEMENT
무엇보다 주택시장에서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고 있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고령화 및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한국 경제를 강타한 것은 1~2인 가구의 증가다. 2인가구가 24.3%로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하고 1990년 이후 가장 많은 가구유형이었던 4인가구 비중이 22.5%로 2005년에 비해 불과 5년 사이에 4.5%포인트나 급감한 것이다. 소유에서 거주의 개념으로 주택의 소비구조가 바뀌고 있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다보니 집값 하락으로 대출이자를 갚지 못하고 신용불량자 위기에 몰린 하우스 푸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은 물론이고 렌트푸어(rent poor) 이야기마저 나온다. 이 정도 되면 가계부채문제는 시한폭탄 수준으로 발전한 것이고 관련자들은 폭탄돌리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정치의 계절이다보니 상환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대선주자들의 공약이 안 나올 수 없고 폭탄돌리기의 판을 키우는 데 톡톡히 한 몫하고 있다. 이젠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외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라는 식의 구태의연한 이야기를 할 시점은 지났다. 증가세가 꺾였다지만 경기침체 장기화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더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문제 풀기는 결코 득표용이 돼서는 안 된다. 10년 전 카드사태 때처럼 문제를 악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ADVERTISEMENT
경기냉각이 길어질수록 가장 먼저 희생자가 될 노령자, 자영업자, 저소득자 등 가계부채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여건을 개선해 이들의 부채가 부실화되는 것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또한 소득과 상환능력에 기반한 가계대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인기영합적인 대책을 내놓기보다는 지금은 개개인이 부채를 관리해야 할 시점이라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가계부채 폭탄 돌리기의 판을 키우는 공약을 내놓는 것은 공포영화의 필름을 빨리 돌리는 것일 뿐이다.
이인실 < 서강대 교수·경제학 insill723@sogang.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