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박영석 대장과 신동민, 강기석 대원은 해발 5,370m의 임시 캠프까지 단 250m만을 남겨 두고 눈사태를 만났다고 이인정 산악연맹 회장이 밝혔다.

현지 구조대원들과 가족·친지들을 격려하기 위해 카트만두로 떠났던 이 회장은1일 새벽 인천공항을 통해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 회장은 입국 뒤 박영석 대장의 친지들과 마주 앉아 “암벽 30m 지점에 로프가 정리돼 있었다. 이는 박 대장이 암벽을 모두 내려온 것을 의미한다” 며 “그곳에서 임시캠프까지 250m만 더 가면 되는데 눈사태를 만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크레바스 밑을 다 뒤졌지만 없었다. 셰르파들은 위험하다고 잘 들어가지 않는 곳에 우리 수색대원이 들어가서 바닥까지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박 대장은 큰 세락(거대한 탑 모양의 얼음덩이) 두 개 중에서 하나가 무너져 생긴 눈사태에 휩쓸렸다” 며 “3명 인원이 눈사태에 휩쓸리면 소지품 하나라도 튕겨 나올 텐데 그것도 없는 것으로 봐서는 깊이 묻혔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세락의 크기가 워낙 거대해 눈이 쌓인 높이가 30m 이상이 될 것이라며 수색 작업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회장은 ‘박영석 탐험대’에 대한 수색을 멈추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인정 회장은 “그 지역을 잘 아는 셰르파 등 현지 전문 구조 요원들을 고용해 흔적을 꼭 찾아내겠다”고 약속했다. 이 회장은 “아무리 상황이 어려워도 해마다 수색대를 꾸리겠다” 며 “당장 내년에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면 내후년이나 그 다음 해까지 도전하겠다”고 강조했다.

故 박영석 대장과 신동민 강기석 대원은 해발 6,300m 지점까지 오르다가 “낙석가스가 많다”며 탐험을 중단했고, “두 번 하강 남았다”는 교신을 마지막으로 실종됐다.
 
故 박영석 탐험대의 분향소는 1일 오후 5시부터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