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연천 서울대 총장(사진)은 8일 "서울대가 정부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법인화되는 만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른 시일 내에 시행령과 새 정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오 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서울대 법인화 법안'이 통과된 직후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오 총장은 "법인화를 계기로 서울대는 인사 예산 조직 부문에서 자기 혁신을 이뤄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대학으로 거듭 나겠다"며 "서울대 교수 등 15인이 참여하는 법인설립준비 위원회를 구성해 법인화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법인으로 전환되면 오 총장은 현행 교수 · 교직원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마지막 직선제 서울대 총장이 된다. 앞으로 서울대 총장은 이사회에서 간선제로 선출된다.

오 총장은 법인의 초대 이사장을 겸하는 등 역대 어느 총장보다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법인 이사장을 겸직하면 차기 총장과 이사회 임원 선임에 참여하게 된다.

오 총장은 "서울대가 법인이 되면 등록금을 올릴지도 모른다는 얘기가 있으나 학생들에게 부담을 지우는 일은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서울대가 기초학문을 등한시하고 기업들이 원하는 인력배출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기우"라고 잘라 말했다. 오 총장은 반대로 "기초학문연구,한국학연구,연구기자재 확충을 지원하기 위해 2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설명했다.

오 총장은 서울대 재정 규모(올해 1조2000억원)를 재임기간 중 2배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구상도 소개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회계 20% △기성회계 5% △발전기금 20% △연구비 20% △산학네트워크 10% △수익사업 15% 증가를 목표로 삼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교수 업적평가와 승진 · 정년심사는 예측 가능하게 하겠다"며 "교수와 직원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고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도록 지원 인프라를 강화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