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기자재 선급검사 비용 낮춰주세요.”

부산조선기자재공업협동조합은 28일 제조원가의 5~10%를 차지하는 선급기관의 과다한 선급인증 비용 및 불합리한 선급제도를 개선해 줄 것을 외국 선급회사에 촉구했다.

조합측은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조선경기 하락으로 국내 조선기자재업계는 지난 2년간 발주취소 및 납기지연 등으로 큰폭의 매출감소를 겪었으며,조선소의 납품단가 인하압박에 이어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심각한 경영위기를 맞고 있는데도 선급검사 비용 2004년의 제조원가 대비 1%에서 2009년에는 5∼10%로 상승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조합측은 “선박의 성능 및 안전성을 인정받기 위한 선급인증은 선박을 발주하는 선주가 일방적으로 선정하거나 운항지역의 안전규정에 따라 지정받게 돼있어 조선기자재업계로서는 선택권이 없으며,제품생산을 완료하고도 선급인증을 받지 못하면 납품할 수 없는 을의 입장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 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특히 선주와 조선소에게는 발주 선박에 대한 지정선급으로 선정되기 위해 저가의 선급비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인하차액은 선택권이 없는 조선기자재업계에 고스란히 전가하는 방법으로 지난 조선호황기 선급비용 인상률 1~2%에 비해 최근 3~4년간 매년 10% ~ 20% 이상의 일방적인 인상을 감행해왔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조합은 지난 25일 선급비용 인하 및 제도 개선내용을 담은 ‘조선기자재업계 선급검사관련 애로사항 개선요청서’를 대표적 해외선급인증기관인 DNV(노르웨이), GL(독일), BV(프랑스),LR(영국), NK(일본), ABS(미국), CCS(중국), RINA(이탈리아), RS(러시아), CR(대만)등 10여개 선급을 대상으로 각국 본사와 한국지점 전달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