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4일 발표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은 의료 교육 관광 등 서비스 분야 전반에 걸친 세제·금융지원 규제완화 등 모두 159건의 방대한 정책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선물세트'인 셈이다.

그래서 '백화점식 정책나열'이란 평가도 있다.

어떤 한 분야라도 확실히 키운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서비스산업 종합대책을 내놓은 데는 나름대로 절박함이 있다.

지금처럼 수출 위주의 제조업 주도 성장으론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그간의 지속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에선 지난 15년간(1990~2005년) 67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대안은 서비스 산업밖에 없다.

서비스 쪽에선 같은 기간 중 일자리가 640만개 늘었다.

이처럼 고용 창출의 보물창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서비스산업은 경쟁력이 취약하다.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서비스수지 적자가 단적인 예다.

국내 관광·교육·의료 등 서비스에 만족 못한 국민이 해외로 나가 돈을 쓰다 보니 올 들어 10월까지만 서비스수지 적자는 사상 최대인 154억5000만달러에 달했다.

따라서 급증하는 해외 소비를 국내로 돌려 서비스수지 적자도 줄이고,국내 일자리도 창출해 내수산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절실했던 셈이다.

정부가 내놓은 종합대책은 크게 8개 분야다.

△제조업과의 차별시정 △불합리한 규제개선 및 인프라 구축 △세제·금융지원 확대 △의료서비스 다양화·첨단화 △서비스업 인적자원 양성 △유망서비스업 육성 △관광산업 활성화 △교육분야 경쟁력 강화 등이다.

이런 방안들을 통해 서비스 산업 전 분야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게 정부 의지다.

그러나 전 분야의 대책을 모두 망라하다 보니 '알맹이가 안 보인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제주도 영어타운의 경우 아직 구상 단계이지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

게임 패션 등 유망 서비스업종으로 제시한 산업들도 앞으로 어떻게 육성할 것인지 등에 대한 실행방안이 빠졌다.

또 적지 않은 정책이 관계부처 합의 정도만 이뤄졌을 뿐이다.

실현되기까지는 실행계획 수립,관련법 개정,이해관계자 조정 등 넘어야 할 산도 많다.

특히 이번 정부의 임기가 1년 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수많은 정책 중 과연 몇 가지나 실행에 옮겨질지 의문이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