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I면톱] '미국 금리 올리나 안올리나' .. FRB, 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릴 것이냐 말 것이냐"
7년째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에 국제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미국내 일각에서는 "인플레
예방을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어서다.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측은 FRB의 정책을 감시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하이프리퀀시 이코노믹스, 발할라 등의 경제분석기관들.
이들은 31일 열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서한을 보내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현재 미국경제의 성장율은 적정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므로 지금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물가상승이 야기될 것"이라는 게 그 요지다.
사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미국내에서는 FRB가 움직인다면 그 방향은
금융긴축(금리인상)보다는 완화쪽일 것으로 예상돼 왔다.
아시아 금융위기의 여파로 미국경제도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앨런 그린스펀 FRB의장도 지난 2월 하원에서의 증언에서 경제성장율이
작년의 3.9%에서 올해는 2.0-2.75%로 둔화될 것이라며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거의 못느낀다"고 밝혔다.
그런데 실제로 미국경제는 지난 1.4분기중에도 여전히 확장국면을
지속했고 이로인해 금리인상론이 표면화된 것이다.
이와관련 경제분석기관들은 이번 서한에서 "아시아 위기는 경기를
적정수준으로 진정시킬 만큼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만약 이들의 주장대로 FRB가 현재 연5.5%인 은행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에는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FRB의 금리인상은 달러강세를 심화시키고 미국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려쓰고 있는 기업들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여부를 둔 FRB의 장고에 세계가 주목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임혁 기자>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1일자 ).
7년째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에 국제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미국내 일각에서는 "인플레
예방을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어서다.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측은 FRB의 정책을 감시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하이프리퀀시 이코노믹스, 발할라 등의 경제분석기관들.
이들은 31일 열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서한을 보내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현재 미국경제의 성장율은 적정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므로 지금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물가상승이 야기될 것"이라는 게 그 요지다.
사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미국내에서는 FRB가 움직인다면 그 방향은
금융긴축(금리인상)보다는 완화쪽일 것으로 예상돼 왔다.
아시아 금융위기의 여파로 미국경제도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앨런 그린스펀 FRB의장도 지난 2월 하원에서의 증언에서 경제성장율이
작년의 3.9%에서 올해는 2.0-2.75%로 둔화될 것이라며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거의 못느낀다"고 밝혔다.
그런데 실제로 미국경제는 지난 1.4분기중에도 여전히 확장국면을
지속했고 이로인해 금리인상론이 표면화된 것이다.
이와관련 경제분석기관들은 이번 서한에서 "아시아 위기는 경기를
적정수준으로 진정시킬 만큼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만약 이들의 주장대로 FRB가 현재 연5.5%인 은행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에는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FRB의 금리인상은 달러강세를 심화시키고 미국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려쓰고 있는 기업들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여부를 둔 FRB의 장고에 세계가 주목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임혁 기자>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