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도 뜨거운 '트위터 검열 논란'
검열 논란을 빚은 미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를 두고 국내에서도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 상에 "트위터가 특정 국가에 대한 검열을 확대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용자들은 '트위터 블랙아웃(#TwitterBlackout)'이라는 해쉬테그(공통된 주제임을 표시하는 기호)를 만들어 검열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는 등 대응에 나섰다. 트위터 블랙아웃은 28일 오후 4시부터 29일 오후 4시까지 트위터를 이용하지 않는 SNS 운동이다. 이 같은 소식은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트위터 블랙아웃에 동참을 선언하는 이용자들이 속속 늘고 있다.

팔로워가 18만명에 달하는 노회찬 통합민주당 공동대변인을 비롯해 최재천 전 민주통합당 의원, 소아정신과 의사 서천석 박사, 영화감독 이송희일 씨 등 유명 트위터리안들도 트위터 거부 운동에 동참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국가의 요청에 따라 특정사용자나 멘션에 블럭(차단)을 허용한 트위터사에 강력항의하며 하루동안 트윗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트위터 검열' 소식이 오해라는 의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트위터는 저작권법이나 나치 관련 특별법을 위반하는 매우 특별한 경우에 한해 콘텐츠를 삭제해왔다. 트위터는 이 같은 삭제 조치에 대해 △해당 국가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계속해서 볼 수 있게 하는 기능 △삭제 시간과 그 이유를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기능 등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트위터 블랙아웃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같은 기능이 추가되면서 오히려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삭제된 트윗을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록이 남는다는 점 때문에 국가가 무분별하게 차단을 요청하기도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이 같은 내용을 전하며 "미국에서는 자정작용으로 이번 발표에 대한 오해가 풀려가고 있지만, 국내 언론들은 일부러 트위터의 차단 정책이라 부풀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다른 이용자는 "블랙 아웃을 외쳤던 파워 트위터러(유명 트위터 이용자)를 비판하는 건 우스운 일"이라며 "그 시점에서는 충분히 의미있는 일이었다"고 섣부른 판단을 경계했다.

이 같은 주장에도 불구하고 트위터 검열 논란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트위터 본사의 발표문을 두고 해석상의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판 트위터 블랙아웃을 제안한 한 시민은 "이 방법의 시행으로 부분적 제한이 가능해짐으로써 특정 국가를 위해 한 제한(조치)이 다른 나라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으면 더 손쉽게 제한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생긴 것"이라고 밝혔다. 제한 범위가 적어지면서 외려 그 빈도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다. 그는 "설령 저희가 오해를 한 거라고 하더라도 이런 움직임이 트위터가 제약을 적용할 때 더 조심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박은아 기자 snow@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