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 '뮌헨'… 폭력의 종말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대계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뮌헨'은 전작 '쉰들러 리스트'(1993)처럼 자신의 동족인 유대인 학살을 소재로 평화에 대한 염원을 그린 수작이다.
전작이 나치의 홀로코스트를 고발했다면 신작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끝없는 전쟁에 대해 용서와 화해를 촉구한다.
이 같은 주제는 독창적이면서도 절제된 연출로 객관성을 획득하고 있다.
이야기는 1972년 뮌헨올림픽에서 11명의 이스라엘 선수가 팔레스타인 과격파에 살해당한 실화에서 출발한다.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는 살인 혐의자 11명을 처단하기 위해 암살대를 조직한다.
그리고 '피의 보복'이 이스라엘 정부와 무관한 것처럼 꾸미기 위해 그들과 공식적인 관계를 끊는다.
암살팀 리더 애브너(에릭 바나)의 행보는 복수의 허망한 귀결을 보여준다.
그는 암살 표적뿐 아니라 주변 인물까지 제거하게 된다.
그의 동료들도 적의 반격에 하나씩 희생된다.
'피의 복수'란 종국에는 모든 관련자들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자살행위라는 암시다.
살인행위는 애국심으로 포장돼 있지만 당사자들의 심성을 황폐화시킨다.
팀원들의 잇단 죽음으로 애브너는 자신의 행동에 회의를 느끼게 되고,모든 주변인들을 차례로 의심하게 된다.
심지어 자신에게 임무를 부여한 모사드조차 불신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암살대원들은 조국을 위해 일하지만 조국과 점점 멀어져 간다.
감독은 애브너의 의혹과 불안을 강조하기 위해 암살 표적을 애브너의 시선에 노출된 만큼만 보여준다.
애브너의 팀원들을 살해하는 적의 모습도 의도적으로 묘사하지 않았다.
적에 대한 한정된 정보는 주인공뿐 아니라 관객마저 암살 표적이 과연 진짜 테러범인지,정부의 정보는 바른 것인지 회의하도록 이끈다.
국가를 대변하는 두 캐릭터(모사드 리더와 애브너의 어머니)가 애브너에게 취한 태도에는 개인의 행복을 외면하고 애국심만 강요하는 국가의 비정함이 담겨 있다.
어머니는 애브너의 고통을 무시하고,모사드 리더는 에브너의 초대에 의심스러운 눈으로 거절한다.
애브너의 아내와 아기는 암살요원과 일상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다.
그가 퀭한 눈으로 가족에게 돌아간 장면은 암살자가 평범한 시민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암시한다.
9일 개봉,15세 이상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