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에 자본잠식 기업에 대한 경계령이 내려졌다. 지난해 말 현재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기업이 속출하면서 일부는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란 관측이 강하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은 자본잠식 탈피를 위해 유상증자에 나서고 있으나 당국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감독 강화 등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적지 않은 파장이 일 전망이다. 9일 코스닥위원회와 코스닥증권시장에 따르면 2003년도 감사보고서 제출시한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자본잠식률이 50%를 넘는 기업이 20개사를 넘어섰다. 특히 이중 현대멀티캡 엑세스텔레콤 엠바이엔 맥시스템 아이트리플 등 5개사는 자본이 완전 잠식됐다. 서울이동통신은 2년 연속 자본잠식률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면 관리종목으로 편입되며 이러한 상태가 1년 더 지속되면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된다. 또 자본이 전액잠식되면 즉시 퇴출된다. 이들 기업이 퇴출을 면하려면 감사보고서 제출시한인 이달 30일까지 자본잠식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본 잠식기업이 속출하고 있는 것은 작년 내수경기 위축으로 중소형 IT(정보기술) 벤처기업의 실적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다 회계법인의 감사가 강화되면서 순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도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자본잠식으로 인해 퇴출되는 기업이 잇따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코스닥위원회 한 관계자는 "일부 자본잠식 기업의 경우 유상증자가 여러 차례 무산되는 등 과거와는 달리 외부자금 조달을 통한 자본잠식 탈피가 쉽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잠식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도 실제 증자대금 납입사실을 확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때문이다. 코스닥증권시장 관계자는 "자본 부분잠식 기업은 감자를 통해 등록유지 요건을 맞출 수 있지만 완전잠식기업은 반드시 유상증자가 필요하다"며 "증자대금이 3월말까지 납입되면 퇴출요건이 해소된다"고 말했다. 한편 아직까지 주총 소집 공고를 하지 않은 12월 결산 등록기업이 1백70여개에 이르고 있고 감사보고서 제출기업도 8백35개사 중 2백32개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추가로 자본잠식 기업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