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계열사들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일단 부도와
같은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데 성공했다.

최대 걸림돌이었던 보증사채와 담보 CP(기업어음)의 이자지급문제, 신규
자금 지원문제도 해당기업이 책임진다는 원칙아래 추후 논의키로 하는
선에서 가닥을 잡았다.

신규자금도 충분하지는 않지만 급한 불을 끌 정도는 지원키로 했다.

이로써 워크아웃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1단계 사전정지작업은 끝난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사전정지작업은 채권금융기관간 분란을 일단 봉합한 것에
불과하다.

이제부터는 "실사와 채무조정" 같은 험한 길이 기다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워크아웃의 기본골격이 정해진다.

채권금융기관간 "밀고당기기"는 여기서 본격적으로 벌어진다.

<> 워크아웃 현안과 해결책 =대우 워크아웃은 처음부터 끝까지 "돈" 문제다.

우선 진성어음 할인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의 창구지도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들이 대우 발행어음을 제때
할인해 주지 않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의 특례보증, 신규자금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으나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대우 계열사들의 영업력 저하에 따른 하청업체의 판매부진과 이로
인한 자금난은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과거 기아자동차 사태때와 비교하면 하청업체가 받는 충격은 상대적
으로 덜하다는 것이 당국이나 은행권의 평가다.

서울투신운용이 지원한 콜자금은 대우캐피탈 등 대우금융계열사와 최종
수혜자인 대우 계열사들이 한꺼번에 워크아웃에 들어감에 따라 회수할 길이
막막한 실정이다.

대우캐피탈은 대우자동차 등으로부터, 서울투신운용은 대우캐피탈로부터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뚜렷한 해결책도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보증사채 담보CP 이자지급은 해결원칙이 섰지만 발행기업이나 서울보증보험
은행 투신이 해결능력이 없거나 부담을 지는 것을 기피하고 있다.

채권금융기관협의회 운영위원회 경영관리단 등 채권단측 기구와 대우계열사
경영진간의 마찰소지도 남아 있다.

자산매각 외자유치 등의 협상주체를 현경영진으로 정했지만 채권단이 언제
든지 개입할 수 있어 대외적으로는 아직 주체가 정립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외국채권단과의 협상은 답보상태다.

일부 외국채권금융기관은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오호근 기업구조조정위원장으로 채널이 일원화됨에 따라 협상을 위한
정지작업은 어느정도 이뤄졌다는 평가다.

<> 실사와 기업개선계획 작성 =앞으로 최소한 2~3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실사기관은 보수적인 잣대를 적용해 자산가치를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일부 기업의 경우 대규모 부채조정이 불가피해진다.

대우 워크아웃계열사 경영진들은 실사기관에 맞서 장부상 가치와 실사기관의
평가가치간의 간격을 좁히려 할 가능성이 있으나 기업의 생존능력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2차 채무조정을 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이자감면
대출금출자전환 만기연장 등 큰폭의 부채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11월께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실사결과는 부실책임을 가려야 한다는 장외
공방을 촉발할 수 있다.

현경영진중 상당수는 퇴진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부채조정을 둘러싼 채권금융기관간 "싸움"도 치열하게 벌어질 수밖에 없다.

대우채권구조의 특성상 소수가 결코 아닌 투신권의 대응이 주목된다.

일부 감자(자본금 감축)가 불가피한 기업이 나타날 경우에는 주주들의
반발에도 직면할 듯하다.

그러나 대우 계열사들이 일단 워크아웃 틀안에서 재기를 모색하기 때문에
반강제적 조정권한을 갖는 기업구조조정위원회가 개입할 경우 분란은 의외로
단시일내에 해소될 수도 있다.

이와함께 비워크아웃 13개사중에도 자금난에 봉착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를 신청하는 곳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여신규모가 작아 대세를 바꿀만한 위력은 갖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 허귀식 기자 window@ >

[ 대우 워크아웃 쟁점과 해결방안 ]

< 진성어음 할인 >

<> 문제점 : 창구지도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할인기피 여전
<> 해결방안 : 특례보증/직원면책/신규자금지원

< 서울투신운용의 콜자금회수 >

<> 문제점 : 대우캐피탈 등 대우금융계열사와 대우측의 상환능력상실
<> 해결방안 : 별도관리 등 해결책 강구중

< 보증사채 원리금지급 >

<> 문제점 : 서울보증보험의 지급능력 부족
<> 해결방안 : 공적자금지원, 은행권 신규지원 등 대책 강구

< 담보CP 이자 >

<> 문제점 : 상환유예대상에서 제외돼 채권단 부담가중
<> 해결방안 : 일단 지급키로 한 뒤 해결책 강구

< 경영관리단과 기업측의 마찰 >

<> 문제점 : . 경영관리단 지위에 대한 기업측의 인식부족
. 채권단의 과도한 예우 및 결정권 요구
<> 해결방안 : 역할/권한 규정 및 계약서 작성

< 자산매각 등의 주체 불투명 >

<> 문제점 : 자산매각/외자유치 등의 협상주체 미정립으로 인한 신뢰 저하
<> 해결방안 : . 현 경영진에 협상전 위임
. 채권단회의 안건으로 상정해 결정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