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쌀시장을 개방하라는 외국의 압력을 또다시 물리치고 쌀
자급자족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농수산성은 5일에 공개된 연례보고서를 통해 일본은 국내 쌀공급에
바탕을 두는 생산성 높은 쌀농사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미국과 다른 나라들은 쌍무회담이나 국제회담때 일본에 대해 쌀수입을
자유화하라고 강력히 요구해 왔으며 관세무역일반협정(GATT)의 주관으로
제네바에서 재개된 우루과이 라운드 세계무역협상에서 압력이 더
가해질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문가들이 말했으나 농수산성의 한 관리는
"쌀수입 자유화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5일 내각의 승인을 받은 연례보고서는 일본이 이미 세계 최대의 농산물
수입국이라고 지적하고 일본이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참가국들의 협력을
얻어 농산물 무역의 새 규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자연환경
보호에서 농업이 수행하는 역할과 식량안보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산성이 높은 일본의 논은 수자원 개발과 홍수예방을 통한 국토및
환경 보존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말했으나 일본은 수요 둔화로
쌀 생산과잉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계속적인 쌀생산 증가는 63년
이후의 쌀소비 감소추세와 더불어 공급통제 조치를 필요하게 만들어 이
조치가 71년부터 실시되었다고 설명했다.
연간 1인당 쌀소비량은 60년의 1백14.9kg에서 89년에는 70.1kg로
줄어들었으나 쌀공급 통제를 받는 논의 면적은 55만ha에서 83만ha로
늘어났다고 보고서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