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한국수영진흥센터 건립, 선수권·마스터즈대회 신설 적극 검토
"한국도 마스터즈수영 동호회 많아요"…100여개 팀 1천여명 참가
84개국 6천여 명이 참가한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대회'에 한국에서도 100여개 동호회, 1천여 명이 참가하면서 한국 수영 동호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광주세계마스터즈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정확한 통계는 나와 있지 않지만, 생활체육 가운데서 배드민턴 다음으로 수영 동호회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광주마스터즈대회에 아티스틱수영, 오픈워터수영, 다이빙, 수구 등 일반 경영 외의 팀들도 많이 참가했다.

이번 대회에는 경영 동호회가 76개로 8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오프워터수영이 7개 동호회에 50여 명, 다이빙 동호회가 5개 팀에 40여 명, 수구가 3개 동호회에 40여 명, 아티스틱수영 동호회가 3개 팀에 9명이 참가했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수영 동호인들의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은 회원 수가 4만7천여 명이나 되는 동호회가 있지만 2∼3명에 불과한 소규모 동호회도 있다.

156명이 출전한 수영동호회 'SWIMON'의 박정빈(일산) 회장은 "회원들이 마스터즈대회가 외국에서 열려 나가고 싶어도 못 나가는 경우가 많다"며 "광주에서 개최돼 무척 반갑고 참가 자체가 영광이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동호인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50m 풀 등 경기장 시설이 부족해 수영하려면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며 "특히 국제수영연맹(FINA)의 규정과 룰에 비해
우리 수영의 현실이 따라가지 못한다"고 아쉬워했다.

서울 오픈워터수영 GPG팀 회원 김현철(서울)씨는 "파도도 잔잔하고 주변 환경이 너무 아름다운 여수 바다에서 경기를 치러 행복했다"며 "매년 여수 바다에서 정기적으로 오픈워터수영대회가 개최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남자 수구 경기에 참여한 서울 OLPAK Water polo 팀의 코치인 이준희(서울)씨도 "실력 차가 많이 나지만 외국 선수들과 그 나라에 가서 다시 경기를 약속하는 등 많은 친구가 생겼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이번 대회를 계기로 수영도시 광주, 수영강국 대한민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레거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엘리트 선수 육성, 수영 지도자 양성, 수영의 대중화, 생존수영 확대를 위해 이번 대회의 유산으로 한국수영진흥센터(가칭)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 엘리트 수영과 마스터즈 수영의 구분 없이 수영스타 등용문이 될 수 있는 가칭 광주수영선수권대회와 동호인들을 위한 광주수영마스터즈대회 개최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