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은 새정부가 추진해온 "신경제 100일 계획"이 행정규제완화,공직자
의식개혁등의 부문에서 어느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대다수의 국민들은 효과적인 정책수단의 부족이 "신경제 100일 계획"의
추진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점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향후 예상되는
부작용으로는 통화팽창에 따른 물가불안을 지적했다.

이같은 사실은 럭키금성경제연구소와 본사가 공동으로 "신경제 100일
계획의 평가"에 대해 기업인,학계,언론기관 인사,일반인등 사회 각계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설문내용중 "신경제 100일계획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55%가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응답함으로써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런 거의 성과가
없었다고 대답한 사람도 전체의 41%나 돼 부정적인 견해도 만만치 않았다.
이는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설비투자가 여전히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등
국내경기가 아직도 뚜렷한 회복기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경제 100일계획의 중점 추진과제들중 행정규제완화부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9%가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공직자
의식개혁부문에서도 조사대상의 63%가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는 기업의 자율성제고와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위해
두차례에 걸쳐 실시한 정부의 규제완화조치가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으며
새정부의 사정활동강화이후 공직자의 의식개혁도 어느정도 진전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반면 정작 가장 많은 기대를 모았던 경기활성화에 대해서는 성과가
어느정도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44%에 그쳤고 거의 성과가
없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49%나 돼 신경제 100일계획의 경기활성화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했다. 조사대상그룹별로는 학계및 언론계
인사들보다는 기업인이 경기활성화효과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경제 100일계획실시이후 기업인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다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구조개선면에서는 성과가 없었다고 응답한 비율(55%)이 성과가
컸거나 어느정도 있었다(45%)고 응답한 비율보다 다소 높았다.
중점추진과제 중에서 특히 성과가 부진했던 부문은 생필품 가격안정으로
응답자의 74%가 성과가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 그룹별로는
일반국민이 물가안정의 효과에 대해 특히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신경제 100일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점으로 지적된것은
"효과적인 정책수단의 부족"이었다. 이는 단기적 경기부양을 위해 취할수
있는 정책수단이 많지 않았으며 설령 여러가지 정책수단을 동원했다
하더라도 침체된 경기를 짧은 기간안에 활성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고 하겠다. 또 응답자의 17%는 "정부의 사정활동등으로
인한 기업의 투자심리 위축"을 애로점으로 지적하기도 하였다.

"신경제 100일계획"으로 인해 예상되는 부작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통화팽창에 따른 물가불안"이 64%로 가장 많았다. 이는 많은 국민들이
신경제 100일계획기간중에 풀린 통화가 앞으로 물가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신경제 100일계획"이 종료된 이후에도 경제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금리의 하향안정및
신축적인 통화관리"(36. 9%)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외에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공급확대"(28. 5%) "공공투자 확대"(16. 0%)등의
의견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