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이 막바지에 접어들자 배추 무등 김장감들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시세가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젓갈류도 공급이 원활한데
반해 수요가 이를 따르지 못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매기가 회복되고 있는 생선류는 대중어종을 중심으로 강세권을
나타내고 있고 산지 생산자들의 출하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 과일류는
전반적으로 오름세.
또 연말 선물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수삼은 물량이 넉넉지 못한 가운데
속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 채소류 = 가락시장에 배추가 하루 1천2백여톤씩 반입, 반입량
자체가 줄어들었으나 김장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면서 수요 역시 크게
줄어들자 상품이 포기당 4백~5백원선의 바닥세이며 무 또한 노지제품에다
컨테이너 저장제품까지 출하되면서 하루 5백여톤이 반입되고 있으나
매기가 저조, 상품이 개당 3백원선으로 1백원이 또 떨어졌다.
알타리무도 한단에 2백원이 떨어져 7백원선.
대파와 쪽파도 수요가 크게 줄어 한단에 1백원씩 떨어져 6백원선,
마늘도 깐마늘이 4kg당 2천원이 떨어져 1만1천원선.
그러나 의령 진주 진양 함안등 남부지방에서 주출하되는 오이만은
반입량 감소와 수요증가로 크게 올라 상품이 개당 5백원선의 높은
시세.
<> 생선류 = 대중어종의 물량이 다소 늘어나고 있으나 매기가 호전,
시세는 여전히 강세.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생태가 씨알이 굵은 상품이 마리당 1만원선의
높은 시세이며 중품과 하품도 6천원과 2천5백원선의 강세.
물오징어도 육질에 따라 마리당 1천3백~2천원까지 거래되고 있고
갈치도 중품이 마리당 4천원선.
그러나 횟감용 활어는 수요가 줄어들어 전반적으로 낮은 시세를
나타내 광어가 kg당 3만원선, 도다리가 kg당 1만7천원선, 도미와
우럭은 kg당 1만9천원과 1만7천원선.
농어와 참숭어도 kg당 1천~2천원선이 떨어져 2만원과 1만2천원선에
각각 거래.
<> 인삼 = 연말연시 선물용 수요를 겨냥, 상인들의 물량확보가
이루어지면서 시세가 상승.
경동시장을 비롯 주요백화점에서는 특히 수삼의 물량이 넉넉치 못해
시세가 크게 뛰고 있는데 6년근이 7백50g당 2천원이 올라 3만1천원선의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 건삼도 고려인삼의 경우 3백g당 8편짜리가 1천원이 뛴 3만7천원선,
10편짜리도 같은 폭으로 올라 3만4천원선.
<> 과일류 = 생산농가의 출하물량조정로 사과 배등이 전반적으로
속등.
가락시장에서 사과의 경우 하루 4백여톤씩 반입되는 가운데 맛이 좋은
후지종의 경우 15kg 상자당 상품이 3천원선이 올라 2만5천원선에, 배
역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종이 15kg 상자당 상품이 3천~
4천원이 뛰어 4만원선의 높은 시세.
게다가 단감 역시 수요에 맞추어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어 15kg 상자당
5천원이 오른 5만5천원선에, 멜론은 물량이 크게 줄어 개당 1천원이
올라 6천원선의 강세.
감귤은 조생종 꿀물과 중생종 출하가 이어지면서 하루 4백톤씩이
반입되고 있으나 매기가 늘어나면서 상품이 15kg 상자당 1천원이 올라
1만7천원선.
이밖에 하우스제품인 수박이 개당 1만원선, 토마토가 kg당
2천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딸기가 출하되면서 한갑당 7천원선의
높은 시세.
<> 젓갈류 = 김장 끝물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수요가 줄자 가락
시장에서 맛이 가장 좋은 육젓이 4kg당 2천원선이 떨어져 3만8천원선에,
멸치젓과 황석어젓도 kg당 1천원씩 내려 4천~5천원선에 각각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