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전간 설치할 대용량 광전송시스템 구매를 둘러싸고 한국전기
통신공사(KTA)와 관련업계가 맞서고 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A는 통화량이 폭주하는 서울-대전간에
565메가bps급의 광전송장치 2개시스템(1만6,000회선/22억원상당)을
오는 10월개통키로하고 구매에 나섰다는 것.
이에대해 통신기기업계는 "이장비가 국내에서 개발돼 올해안에
상용화될 단계에 있는데다 관련표준규격도 확정되지 않는 상태에서
서둘러 구매하는것은 국내업체의 연구개발의욕을 꺽고 외국의 통신
시장개방요구에 앞장서 부응하는 격"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 업계는 "금성반도체 대영전자 대우통신 대한전선 삼성전자등
5개업체와 전자통신연구소(ETRI)가 공동으로 20억원가량을 들여
565메가BPS급 광전송 장비를 개발, 지난해말 신탄진-대전-옥천간
45km 구간에서 실시된 현장시험을 통과했다"고 밝히면서 올해안으로
상용화될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는 또 이 장비에 대한 표준규격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참정규격으로 장비구입을 추진하는 것은 이해할수 없고 이번에
제시한 규격이 외국의 특정업체 제품에 맞춘듯한 인상이 짙다며
"특정외국제품을 구매하려는 것이 아니다"는 의혹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KTA측은 서울-대전간 통신수요가 지난해보다 50%가량
증가, 현재 6만회선용량을 올해안으로 8만6,000회선수준으로
늘려야 할 실정"이라고 밝히고 광케이블주가설치가 어려워 기존
광케이블의 전송능력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KTA측은 국산 광전송장비개발을 맡고있는 ETRI측이 공식
통보한 상용화시기인 92년까지 기다릴수 없어 이번에 한해 외국
장비까지도 구매대상에 포함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