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력증강 계획 '배틀 포스 2045' 발표, 핵잠수함·항모전력 중심 핵잠수함 80척 운영, 경항모 6척 도입…무인함과 무인기 도입도 추진
미국이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맞서 핵잠수함과 중형 항공모함 전력 확충을 중심으로 한 야심 찬 미래 함대 구상을 내놓았다.
미 해군연구소(USNI), 디펜스뉴스 등 미언론에 따르면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오는 2045년까지 미 해군이 500척 이상의 유·무인함정을 보유, 운영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2045년 전력 계획'(Battle Force 2045)을 지난 6일(현지시간)을 발표했다.
국방부 합동연구단이 마련한 전력 계획의 핵심은 중국이 군사력 현대화를 이루는 오는 2035년까지 미 해군이 통상함정 보유 척수를 355대로 유지하고 이어 오는 2045년까지 유·무인 함정을 500척 체제로 개편한다는 것이다.
해군력 증강 계획의 최우선 과제는 핵 억제력의 근간인 핵잠수함 분야다.
이를 위해 미 해군은 컬럼비아 급 전략핵 잠수함(SSBN)과 버지니아 급 공격핵 잠수함 도입과 연료봉 교체 등을 확대해 오는 2045년까지 최대 80척의 핵잠수함 전력을 운영하기로 했다.
에스퍼 장관은 이와 관련해 적어도 세 척의 컬럼비아 급 SSBN 건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버지니아급 핵잠수함은 연간 세 척씩 건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항모전력 확충도 눈에 띈다.
갈수록 핵 추진 항모는 정밀 장거리 미사일의 위협에 노출돼 있지만 전 세계에 걸쳐 전략 투사와 해상 통제 임무를 수행하는 데는 가장 확실한 억제력이라고 계획은 강조했다.
또 11척인 초대형 항모(슈퍼캐리어)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F-35B 스텔스기 같은 최신형 수직이착륙기를 탑재하는 6척의 경항모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경항모 모델로는 현재 운용 중인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이 좋은 사례로, 슈퍼 항모와 동행하거나 독자적으로 슈퍼 항모의 역할을 맡게 한다는 구상이다.
에스퍼 장관은 "고강도전 임무를 수행하고 전 세계에 걸쳐 존재감을 유지하려면 8∼11척의 핵 추진 항모와 이를 보조하는 6척의 경항모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인함 전력 확대도 주목을 받았다.
에스퍼는 140∼240척의 무인함과 제한적인 유인함(optionally manned ships)를 배치해 기뢰 제거(소해), 미사일 공격, 유인함 보급 임무, 정찰, 미끼 임무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를 통해 병력과 예산을 줄이면서도 함대의 공격과 방어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 이미 무인 수상정인 시 헌터(Sea Hunter)가 이달 초 구축함 러셀함과의 동행 작전에서 효용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프리깃함 등 소형 함정 전력 개선도 돋보인다.
에스퍼는 대형함들이 훨씬 복잡한 임무를 더 많이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형 프리깃함 등 60∼70척 규모의 소형함 건조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에스퍼는 또 전 세계에 걸쳐 골고루 해상임무를 수행하고 유사시 대규모 지상군 병력을 한꺼번에 수송하기 위해서는 70∼90척 규모의 전투 수송함 전력을 보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무인기를 대거 도입해 현재 항모 발진 유인기 위주의 해군 항공전력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에스퍼 장관은 균형적인 해군 전략증강을 위해서는 충분한 핵잠수함 전력과 현대적인 전략 억제력 그리고 고성능 대형함과 경량 보조함 못지않게 소형함정과 무인함 도입도 필요하다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예산 확충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에스퍼는 지난달 16일 랜드연구소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 같은 해군력 증강계획을 '퓨처 포워드'(Future Forward·미래로 향해)'라고 명명하고 "미 해군력의 전면적인 재검토는 함대의 함정을 현재 293척에서 355척으로 확대하는 '게임체인저' 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에스퍼 장관은 "미래 함대는 공중과 해상, 수중에서의 치명적인 효과(공격력)를 투사하기 위한 능력 측면에서 균형을 더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AFP통신은 미 해군력 증강에는 소형 수상함과 잠수함 증강, 선택적으로 유인 또는 무인-자율이 가능한 수상 겸용 잠수정, 다양한 항공모함 탑재용 항공기 등이 추가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기념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맞춤형 선물'을 제작해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의 서명이 담긴 선물을 이 대통령과 참모들에게 건네며 화답했다.25일(현지시간)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국에서 제작한 골프채, 거북선, '마가'(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선물했다.골프채는 국내 업체가 트럼프 대통령의 신장 등 체형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제작한 퍼터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각인돼 있다. 거북선 모형은 가로 30㎝·세로 25㎝ 크기로, 기계조립 명장인 HD현대 오정철 기장이 손수 제작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우리 조선 기술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했다"고 설명했다.마가 모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제까지 착용한 적이 없던 '카우보이 모자' 형태로, 배우자 멜라니아 여사의 것까지 함께 제작해 선물했다고 한다.이 대통령은 이날 즉석에서 자신의 서명용 펜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 펜이 좋다"며 거듭 관심을 표하자 이 대통령이 "영광"이라며 건넨 것이다.대통령실 관계자는 "두 달에 걸쳐 수공으로 제작한 펜 케이스에 서명하기 편한 심을 넣어 제작했고 펜 케이스에는 태극 문양과 봉황이 각인되어 있다"며 "이 대통령이 공식 행사 시 서명용으로 사용하려 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펜을 주면서 "받고 싶은 선물이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피습 사진이 실린 사진첩을 언급했는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이 대통령에게 선물로 건넸다.트럼프 대
25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양국의 주요 재계 인사들이 총출동했다. 반도체·방산·자동차·에너지·AI 등 양국의 미래 협력 분야로 꼽히는 분야의 기업인들이 다수 모인 것이다.이날 워싱턴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에는 한미 정부 관계자 및 기업인이 50명 가까이 참석했다.한국 정부에서는 이재명 대통령과 대통령실 강훈식 비서실장·위성락 국가안보실장·김용범 정책실장,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조현 외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미대사로 내정된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등이 자리했다.한국 기업인으로는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상현 롯데 부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허태수 GS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이재현 CJ 회장, 구자은 LS 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 16명이 참석했다.미국 기업인으로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모펀드 칼라일그룹의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공동 회장,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게리 디커슨 CEO, 세계 최대 무인기 업체인 제너럴아토믹스 린든 블루 CEO, 미국 3대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엑스에너지의 클레이 셀 CEO, 인공지능(AI)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 팔머 러키 창업자 등이 눈에 띄었다.또 실판 아민 제너럴모터스 최고연구책임자(CRO),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 마이클 윌리엄 록히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