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聖誕(성탄), 李忠憲(이충헌)

    [원시]聖誕(성탄) 李忠憲(이충헌) 乾象星光明又淸(건상성광명우청)萬王王下大東城(만왕왕하대동성)羔羊贖罪無窮義(고양속죄무궁의)寶血救援永遠生(보혈구원영원생)福音經內神人和(복음경내신인화)眞理道中宇宙晴(진리도중우주청)惟尊至聖誰知敬(유존지성수지경)世世榮華十字名(세세영화십자명) [주석]* 聖誕(성탄) : 성탄절(聖誕節), 크리스마스(Christmas). * 李忠憲(이충헌, 1915~1984) : 본관은 함평(咸平), 호는 경신(景信)으로 죽헌(竹軒) 박제봉(朴齊鳳) 선생과 월담(月潭) 윤복영(尹復榮) 선생의 문하에서 한문과 한시를 수학하였다. 평택(平澤)에서 세거하며 중향당(衆香堂)이라는 한약방을 경영하는 한의학자(韓醫學者)이자 교회 장로로서 평생토록 봉사하는 삶을 살았다. 편찬한 책으로는 『경신의방(景信醫方)』이 있고, 유고집으로는 350여 수의 한시 등이 수록된 『은몽서(恩蒙叙)』가 있는데, 제목은 “하나님의 홍은(鴻恩)을 평생 동안 입음이 얼마나 감사한가!”라고 한 선생의 신앙 회고록에서 그 뜻을 취한 것이라고 한다. * 乾象(건상) : 하늘의 현상, 곧 일월성신(日月星辰)의 변화하는 상태를 가리키는데 때로는 간단히 ‘하늘’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 星光(성광) : 별빛. / 明又淸(명우청) : 밝고 또 맑다. 밝고도 맑다. * 萬王王(만왕왕) : 기독교에서 얘기하는, 세상 모든 왕들 가운데 가장 높으신 왕 또는 온 우주 만물을 다스리는 왕을 가리키는 말인 ‘만왕의 왕’을 한문식으로 표현한 말이다. 여기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 下(하) : 내리다, 내려오다. / 大東城(대동성) : ‘대동의 나라’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 윤동주와 함께하는 봄밤의 시노래 콘서트

           십자가                     윤동주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첨탑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종소리도 들려오지 않는데 휘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 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윤동주가 1941년 5월 31일 쓴 시다. 이 시기는 그가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 4학년 봄, 기숙사에서 나와 인왕산 아래 종로구 누상동에서 하숙할 때다. 일본의 혹독한 식량 정책 때문에 기숙사 급식이 갈수록 나빠지자 그는 후배 정병욱과 함께 하숙집을 찾아 나섰다. 신촌에서 두 달, 누상동 마루터기 하숙집에서 한 달을 보낸 그는 이곳  9번지에 있는 소설가 김송의 집에 자리를 잡고 그해 가을학기가 시작될 때까지 머물렀다. “그해(1941년) 5월 그믐께, 옥인동으로 내려오는 길에서 우연히, 전신주에 붙어 있는 하숙집 광고 쪽지를 보았다. 그것을 보고 찾아간 집은 문패에 ‘김송(金松)’이라고 적혀 있었다. 설마 하고 문을 두드려보았더니 과연 나타난 주인은 바로 소설가 김송, 그분이었다.”(정병욱,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나라사랑》 23집, 외솔회, 136~137쪽) 김송은 함경도 출신의 항일작가였다. 일본 유학 시절 감옥체험을 다룬 작품을 연극 무대에 올리려다  일본 경찰에 ‘요시찰 인물’로 찍혔다. 윤동주와 정병욱은 저녁을 먹고 김송과 대청마루에서 문학과 세상 얘기를 나누곤 했다. 그러나 고등계 형사가 거의 저녁마다 찾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