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비트코인의 미래

    [1]비트코인 가격이 3천8백만 원대(2022.05.31 현재)를 오르내리고 있다. 2021년 11월 8천2백7십만 원의 고점을 찍은 후 50% 이상 폭락한 가격이다. 2009년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기 시작한 이래 세상에 암호화폐 시대를 열어 온 비트코인은 누가 뭐래도 암호화폐 시장의 표준이며 미래다.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면 나머지 알트코인 가격도 오르고 가격이 내리면 다 같이 떨어졌다. 이렇게 암호화폐 세상의 표준이 비트코인이라는 것에 대하여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부동의 2인자로 자리 잡은 것이 이더리움이라 할 수 있다. 지난 2019년 말 중국에서 발발한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각국은 초유의 팬데믹 사태를 맞아 무제한 양적완화로 대응했으나 이어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리고 공급망 붕괴와 점차 높아져가는 인플레이션으로 FED(미 연방준비제도)는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들 수 밖에 없었고 제롬 파월 FED 의장의 한마디에 세계 증시는 요동치며 그 여파는 가장 먼저 암호화폐 시장을 덮쳤다.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시장 리스크가 커지면 보유한 자산 중 변동성이 크고 불안정한 자산부터 정리한다. 가장 먼저 등락폭이 크고 불안정한 암호화폐를 던지고 다음으로 펀더멘탈이 취약한 소형 주식을 처분하고 비교적 펀더멘탈이 우량한 대형주와 최후의 보루라고 생각하는 부동산은 잔뜩 움켜쥐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미?중 무역전쟁까지 이어지는 혼란한 상태에서 투자자 심리는 암호화폐와 까마득하게 멀어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설상가상 스테이블코인 루나와 테라의 폭락 사태는 암호화폐 시장을 아예 그로기 상태로 몰고갔고 결국 비트코인까지 고점 대비 50% 이상 폭락

  • 블록체인 산업의 '경제적 해자'

    ‘오마하의 현인’이라 불리는 세계 최고의 투자자 ‘워렌버핏’이 버크셔 헤서웨이 연례보고서에서 자주 언급해서 유명해진 단어가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다. 이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는 은근 이해하기 쉽지 않은 개념이다, ‘해자’란 외적이나 동물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성(城) 주위에 구덩이를 파고 물을 채워 넣는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기업에 있어서 경제적 해자란 기업이 이룩한 ‘성(안정적인 현금흐름 또는 이익)’을 빼앗기 위해 달려드는 ‘적군(경쟁자)’이 쉽게 얻을 수 없는 기업 고유의 경쟁력으로 특허, 네트워크, 시장 점유율 등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기업이 높은 수익을 얻게 되면 반드시 경쟁 업체가 나타나 시장을 잠식하며 경쟁자 대응 비용의 증가로 수익률은 하락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기업 이익률 하락을 막아주는 힘을 ‘해자’라고 할 수 있는데, 단순히 타사 대비 경쟁 우위 혹은 이익이 잘 나는 아이템을 지칭하는 게 아닌, 초과이윤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복합적인 요인 전체를 가리킨다. 버핏은 기업의 ‘경제적 해자’를 투자 대상 선정의 가장 큰 요인으로 삼고 있으며 크게 다음의 3가지를 이야기한다. 첫 번째, 특허, 브랜드와 같이 타사가 쉽게 얻을 수 없는 기업 고유의 무형자산이 있느냐 여부다. 코카콜라나 아스피린과 같이 고유명사화 되다시피 한 상품 브랜드는 경쟁자가 쉽게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강력한 ‘경제적 해자’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기존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로 전환하는데 발생되는 비용 (반드시 금전적인 비용뿐 아니라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새로운 솔루션으로

  • 달란트 우화와 암호화폐 투자

    성경에 나오는 달란트의 우화는 마태복음(25:14-30)에 있는데 한 부자가 먼 길을 떠나면서 그의 3명의 종들을 불러 재산을 맡긴다. 부자는 종의 능력에 따라 한 사람에게는 5?달란트를 주고 또 한 사람에게는 2?달란트를 주고 또 다른 한 사람에게는 1?달란트를 주고 떠난다. 5?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그 돈을 활용하여 5?달란트를 더 벌고 2?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열심히 노력해서 2 달란트를 더 벌었다. 그러나 1?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겁이 나서 그 돈을 고스란히 땅에 묻어두었다. 주인(보통 이 주인은 신, 하느님으로 많이 해석된다)이 돌아 와서 그 종들과 셈을 하게 되는데, 5?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5?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 ‘주인님, 주인께서 저에게 5?달란트를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5?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라고 말했다.?그러자 주인이 그에게 ‘참 잘했다. 너는 과연 착하고 충성스러운 종이다. 네가 작은 일에 충성을 다하였으니 이제 내가 큰 일을 너에게 맡기겠다. 자,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자’ 하고 칭찬했다. 그 다음 2?달란트를 받은 종도 와서 ‘주인님, 2?달란트를 저에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2?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리고 주인은 그에게도 ‘잘하였다. 너는 과연 착하고 충성스러운 종이다. 네가 작은 일에 충성을 다하였으니 이제 내가 큰 일을 너에게 맡기겠다. 자,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자’ 라고 말했다. 그런데 1?달란트를 받은 종은 ‘주인님, 저는 주인께서 심지 않은 데서 거두시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시는 무서운 분이신 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두려운 나머지 저는

  • 미국의 독과점 기준과 리브라

    세계 자본주의의 교과서로 불리는 미국은 독립전쟁 이후 제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기술혁명의 수혜를 기반으로 19세기 접어들면서 세계 최강으로 발돋움한다. 그러나 급속한 자본주의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현대 자본주의의 최대 약점이자 폐단으로 지적되는 부의 독점 현상을 피할 수 없었으며, 당시 주요 산업이었던 석유, 철도, 담배 산업에 등장한 기업연합(Trust) 형태의 초 거대 기업의 등장은 독과점 폐단을 그대로 표출하면서 중소기업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도 많은 피해를 입혔다. 결국 독과점 폐해를 누구보다 먼저 깨달은 미 국민들은 스스로 경제정의를 법제화하려는 시도를 추진하게 되었고, 이는 1890년 셔먼 상원의원의 주도로 반 트러스트법(Anti Trust Act)이라?불리는 ‘셔먼법’이 제정되었고, 1915년 준사법기관인 연방공정거래위원회(FTC) 설립 등을 통한 초 거대 기업의 독점규제 강화 정책을 마련하고 유지해 왔다. 반 트러스트 법은 미 주력산업의 변화에 따라 20세기 초반에는 석유, 담배, 철강 산업이 견제를 받았으나 80년대 이후 컴퓨터, 통신업체 등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 왔다. 미국에서 최초로 초 거대 그룹이 강제 해체된 것은 1870년 록펠러가 설립한 석유회사인 스탠더드 오일이었다. 록펠러는 석유를 채굴하는 소규모 업자에 불과했지만 철도업체와의 결합을 통해 석유수송망을 장악하며 중소 석유업체들을 무자비하게 쓰러뜨렸고 이를 통해 19세기 말 미국 전체 석유공급의 90% 이상을 장악하는 막강한 석유 독점재벌로 성장했다. 이후 록펠러의 석유 가격 횡포로 소비자와 중소업체들의 원성이 높아지자?1911년 미 연방대법원은 ‘셔먼법’에 근거해

  • 블록체인 스타트업, 약자의 의무

    전 세계 24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이 리브라 출시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 많은 국가와 금융기관이 우려와 충격을 발표하고 있는 반면에. 우버, VISA를 비롯한 다수의 대기업이 리브라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있으며 리브라는 백서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 금융 서비스에 소외된 20억 인구들을 위한 송금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시작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리브라의 등장은 미국 정부는 물론 전 세계 금융 당국과 은행을 비롯한 많은 업체들이 충격과 우려를 표명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타격을 입을 기업은 이른바 송금 서비스를 사업모델로 가지고 있는 중소 스타트업들로 보인다. 거버넌스에 참여한 상대적으로 덩치 큰 업체들, 예를 들어 우버나 VISA등 서비스 제공회사 등은 일단 해당 국가의 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기득권자로서 고정 고객과 가진 힘이 있다 보니 리브라의 거버넌스에 초대라도 받지만 작은 송금 서비스 회사는 순식간에 낙동강 오리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스타트업이 사업 아이템을 고를 때 가장 깊은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법적인 문제와 또 진입하려는 기존 생태계의 절대 강자들과의 경쟁 전략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성공 배경을 살펴보면 기존 강자들이 산업 변화의 트렌드를 제대로 읽지 못해 머뭇거리는 사이 독자적인 기술로 발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여 순식간에 덩치가 커지면서 시장을 선점하게 된 경우다. 그러나 이제는 굳이 코닥과 노키아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대기업 폭망의 학습효과는 넘쳐난다. 그러다 보니 대기업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을 주문하고 있으며 필요 시 관련 기업을 M&A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