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또 다시 돼지가 날아 오를까?

    2008년 금융위기가 닥치자 미국이 꺼내든 무기는 기존 달러 발행 총액의 5배 규모의 달러를 시장에 쏟아 부어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었다. 이 무지막지한 돈 풀기의 영향으로 ‘리먼브라더스’ 파산 6개월 후 거의 50% 가까이 폭락하며 최저점을 기록했던 다우지수는 불과 4년만인 2013년 3월 금융위기 이전 최고점인 14,000p를 회복했다. 그뿐 아니라 1년 5개월 후인 2014년 8월, 지수 17,000p를 돌파하자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증시는 거품 논란에 휩싸이며 언제 버블이 터질 것인가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필자는 당시 현대경제연구원 H원장님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미국증시가 거품인가? 아닌가에 대한 얘기를 잠시 나눴는데, 전날 미국 주가가 2% 가까이 폭락했기에 나온 대화였다. 당시 전 세계는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금융위기가 채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에서, 홍콩사태를 비롯한 악재가 세계 곳곳에 나타나고 있었기에 국내 증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주가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을 수 밖에 없었다. 나는 미국 증시의 버블 여부와 붕괴 가능성에 대해 물었고, 나의 질문에 H원장은 아래와 같이 아주 재미있고 의미 있는 비유를 통해 당시 미국 증시의 상황을 표현 하였다 H원장님은 나와 만나기 직전 전 미국 최대 헤지펀드의 CEO와 나눈 대화에서 나와 똑 같은 질문을 던졌는데, 그는 다음과 같은 얘기로 현재 미국 투자자들의 (물론 전체 의견은 아니겠지만) 분위기를 표현했다고 한다. 그 미국 헤지펀드 CEO 자신은 오래 전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앨런 셰퍼드’를 만난 적이 있는데 그때 셰퍼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고 한다. “미국인 최초로 우

  • 4,000조원 쏟아 붓는다고 증시가 오를까?

    (2008 금융위기의 유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라는 명목으로 뿌려댄 4조달러에 가까운 돈은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 흘러 들어갔다. 그 당시 시민의 삶을 위협하는 초유의 손실(미국의 금융기관에 투자된 미국연방퇴직저축 등 연기금의 손실 보전)울 막기 위해 미국 정부는 금융서비스 부문에 이른바 백지수표를 위임한 것이다. 그러나 손실에 대한 면책을 받은 것은 물론, 엄청난 현금을 손에 쥔 미국 금융기관들은 보유했던 자산을 헐값에 매도할 이유가 없어졌다. 1,2,3차에 이르는 양적완화의 실행과 이런 저런 이유로 시간이 지체되는 사이 실물경제는 금융기관 없이 살아남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정부의 무한대 지원에 의기양양해진 은행들은 가만히 앉아서 경제가 호전돼 자산 가격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올 때 만 기다리고 있었다. 더구나 일부 정책 담당자들은 양적완화의 목적이 금융기관의 부실 자산을 매각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 열릴 때까지 시간을 버는 것이 목적이라고 얘기함으로써 은행의 우물쭈물 자산 매각을 지연시킬 명분을 만들어 주기까지 했다. 당초 양적완화의 목적은 일단 은행의 파산을 막고, 은행이 보유한 폭락한 자산을 매각하여 투자가 되살아나고 은행의 재무구조가 튼튼해 지기를 기대했으나, 면책 특권과 공짜 돈에 맛들인 은행들은 폭락한 자산을 고스란히 유지한 것은 물론 두 배 이상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리고 그렇게 흘러 넘친 유동성은 2009년 3월 24일 7,300p 수준의 최저점에서 지난 1월 24일 30,000p 가까이 무려 4배 가량 다우지수를 밀어 올렸다. 이렇게 유동성으로 밀어 올린 거품으로 가득했던 금융시장에 ‘코로나19’라는 트리

  • 버려야 할 주식, 사야 할 주식

    코로나19로 전세계 증시가 급락하고 있다. 인류가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미증유의 이번 사태는 전 세계 그 누구도 앞날을 예측하기 힘들 것이다. 급락하는 증시 원인 및 대책이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보자. 며칠 전 트럼프 미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세계 최강국 미국이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코로나19 전염병’ 발 비상사태를 발표한 것이다. 거기에 오늘(2020년 3월 17일 자정) 현재 전 세계에서 한국 발 입국 불허 국가는 150개국이 넘었다. 미국은 유럽인의 입국을 금지했으며 세계 각국은 속속 외국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국경이 막히면 무역도 막히고, 문화 교류도 막히고 분업 생산 체제도 무너진다. 이런 비상 시국을 타개하려는 미국의 첫번째 움직임은 양적완화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때 미국이 쏟아 부은 4조 달러에 육박하는 엄청난 화폐의 유동성 부작용이 우려되는 가운데 ‘코로나19’ 경제위기를 핑게로 미국은 다시 7,000억 달러에 달하는 양적완화를 공표했다. 물론 7,000억 달러로 그치지 않을 것은 자명하다. 한정된 자원, 한정된 시장에 돈만 많이 푼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돈이 많이 풀리면 궁극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며 실물자산의 가격은 급등하고 물가는 치솟게 되어 있다. 더구나 생산과 소비가 모두 극도로 위축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아무리 돈을 쏟아 부어도 산업 전체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는 구조에서는 경제가 살아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 알고 있다. 2008년 미국이 그렇게 엄청난 자금을 쏟아 부었지만 그 자금은 월가의 부도덕한 금융기관을 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