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영국 파운드화에 초상화가 들어간 이유

    1960년 3월 17일, 영란은행(영국 중앙은행)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려진 첫 지폐(1파운드 지폐)를 발행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는 지폐에 지도를 제외하면 그림을 넣어본 적이 없었습니다. 영란은행은 여왕의 초상화를 지폐에 인쇄하는 것은 국가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상징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국가의 자부심·정체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왕가의 문화·역사적 중요성을 부각시킨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이후 영란은행은 10실링 지폐(1961년), 5파운드 지폐(1963년), 10파운드 지폐(1964년), 20파운드 지폐(1970년), 50파운드 지폐(1981년) 등에 엘리자베스 2세의 사진을 넣었습니다. 엘리자베스 2세가 자연스럽게 나이 들어가는 모습이 지폐에 반영됐습니다. 이 지폐들을 모아서 엘리자베스 2세 초상의 변화를 보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영국에 이어 캐나다, 뉴질랜드 등 영연방 국가들도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을 자신들의 지폐에 삽입했습니다. 결국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은 10개국 30여개의 지폐에 삽입됐습니다. 엘리자베스 2세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의 지폐에 초상을 실은 사람이 됐습니다. 이후 많은 나라들이 국가 자부심 제고 등의 이유로 자국 위인들의 얼굴을 지폐에 포함하게 됩니다. 위인의 초상을 화폐에 넣으면 위조를 방지할 수도 있습니다. 인물의 초상화는 복잡하고 세밀해 정확하게 복제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눈은 건물이나 풍경에서 사소한 차이를 잘 인식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얼굴은 평소에도 관찰하는 습관이 있기에 사소한 차이만 생겨도 금방 이를 알아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얼굴의 미묘한 차이를 더 잘 인식하기 때문에 위조지폐를 식별하기가 더

  • 초연결사회, 스타워즈, 그리고 ‘크레딧’

    역대 SF 영화 중 가장 많은 열성 팬을 거느린 영화는 단연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다. 루크 스카이워커, 오비완 케노비, 한 솔로, 주인공들의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설레는 이 영화는 광활한 우주를 배경으로 은하제국 멸망 이후 악의 세력에 대항하는 저항군의 활약이 시리즈 물로 만들어져 1977년부터 지금까지 인류의 미래에 대한 무한한 꿈과 이상을 선사했으며, 스타워즈는 신작이 발표될 때마다 전 세계 광팬들의 휴가와 결석이 당연시(?)될 정도로 열성적인 팬들의 지지를 받아왔다. 이 전설의 영화 스타워즈에서 우주선 수리비나 배상금 등에 사용되는 우주 공식 화폐의 이름이 ‘크레딧’이다. 은하 공화국 성립과 동시에 탄생한 ‘크레딧’은 공화국의 힘이 약해지자 약소국의 화폐가 다른 나라에서 푸대접을 받듯 우주 외곽지역에서 ‘크레딧’이 푸대접 받는 장면도 나오는데, 재미있는 사실은 영화 속 가상화폐인 스타워즈 동전이 2011년부터 뉴질랜드 자치령인 남태평양 작은 섬 폴리네시아의 니우에 (Niue)에서 아예 공식 화폐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타워즈 캐릭터인 루크, 레이아, 요다, 다스베이더, C-3PO 등이 새겨진 동전을 만들어 수집가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했으며,  2016 년에는 ‘Niue Silver 2달러’짜리 레이아 공주 코인이 한정판 발행되어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영연방인 탓에 동전 뒷면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새겨졌으며 실물 화폐가 아닌 수집가들을 위한 한정판 화폐 역할이 더 강해 교환 수단보다 투자와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류는 화폐를 통한 무역으로 필요한 물품을 구하고 부를 축적하며 경제활동을 이어왔다. 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