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걷지 않는 길은 곧 사라진다!

     효창동에 공원이 아닌 묘원이 있다. 독립을 위해 몸과 마음까지 바친 애국지사들 유해가 잠든 묘역이다. 1989년 6월 8일 사적 330호로 지정 됐다. 늦었지만 시작일 뿐이다. 현재는 공원과 운동장 그리고 묘역과 기념관이 뒤섞어 있다. 정리가 시급하고 정체성도 필요하다. 백범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 이봉창 의사, 백남기 의사 등 애국지사가 잠들어 있는 성역이 나무들 틈사이로 빼꼼이 보인다. 찾는 이도 많지 않다. 역사의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기억의 공간’이다.   효창원은 230여 년 전 도성 밖 한강이 보이는 야트막한 산이었다. 용이 한강으로 향한다는 용산(龍山)이다. 조선 22대 정조대왕이 가장 아끼던 장자를 가슴에 묻었다. 아버지 사도세자를 수원 현륭원에 묻었듯이 아들 문효세자(文孝世子)를 효창원에 묻었다.   슬픈 역사는 왜 이렇게 반복되는 걸까? 효창원은 슬픔을 담은 묘역이다. 맏아들 문효 세자와 생모인 의빈 성씨가 같은 해 같은 곳에 잠든다. 정조대왕은 도성 밖 가장 가까운 곳에 묘를 쓴다. 수원 화성으로 가는 길목이자 소나무 숲이 우거진 송림(松林)이었다. 문효세자는 조선 왕조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인 22개월 만에 세자로 책봉 되었지만 홍역으로 5세에 숨진 후 이곳에 잠들었다.   1894년 청일전쟁 때 일본군이 효창원 안 만리창(萬里倉)에 야영과 숙영하며 군사기지로 사용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구용산고지(舊龍山高地)라 불리며 병참기지로 활용했다. 1924년 8만1천460평을 공원 용지로, 순환도로와 공중화장실로 변형해 사용했다. 1944년에 문효세자의 묘를 고양 서삼릉(西三陵)으로 이장하며 효창원이 효창공원으로 전락하고 만다. 사직단이 사직공원으로,

  • 비 오는 여름, 인왕산 백운동계곡 가 보셨나요...

      새벽 빗소리에 계곡 물소리가 궁금해 진다. 화강암 바위에 물이 얼마나 먹혀져 있을까? 소나무와 잣나무 사이에 물방울이 흥건하게 맺혀 있다. 길 위에 비가 촉촉이 스며들고 탐스러운 솔방울이 향긋한 향을 내뿜는다. 흰 구름이 머리띠처럼 인왕산을 감싸고 있는 새벽녘에 길을 걷는다.  인왕산은 험준한 바위산이다. 화강암 바위들이 소나무 숲 사이로 얼굴을 내밀고 이야기를 하는 듯하다. 필운대에서 시작한 인왕산 자락은 치마바위와 기차바위를 지나 창...

  • 장충단에 수표교가 왜 있을까?

      목멱산 정상에서 내려오니 우거진 숲 속에 한강이 보인다. 흐르는 물속은 알 수 없지만 물길은 양천과 행주산성을 향해 서해로 흘러간다. 도성을 따라 걸으니 남소문터가 보인다. 그 옛날 도성 밖 한강진에 배를 탈 수 있는 가장 빠른 관문이었다. 남소문터는 장충동과 한남동의 경계로 험난한 고갯길이었다. 지금도 걸으면 숨이 헉헉 막히고 힘들다. 목멱산 아래 남소영이 있어 도성 안과 밖을 지켜온 사람들로 진을 치며 묵묵히 이어왔다. 장충동은 전통과...

  • 목멱대왕, 목멱산 함께 걸어 보실까요...

      새벽빛 어슴푸레 비 그친 목멱산을 향해 걷는다. 성곽길 따라 오르니 도성 밖 한강이 햇빛에 반사되어 비친다. 한강에서 부는 바람과 목멱산 정상에서 내려 온 바람이 백범광장에 멈춘다. 시원하고 청량하다. 목멱대왕이라 칭한 목멱산은 도성의 남쪽 산으로 인경산(引慶山)이라 불리었다. 마치 달리는 말이 안장을 벗는 모습으로 마뫼 라고도 했다. 아름다운 이름이다. 또한 인왕산에서 내려온 산줄기는 한강을 향해 휘어져 솟아 열경산(列慶山)이라고도 하였...

  • 목멱산! 너의 이름으로...

       서울 한복판에 아름다운 산이 있다. 서울을 둘러싸고 넓게 펼쳐져 있다. 서울의 허파로 숲이 울울창창하다. 한강과 삼각산이 한눈에 보이는 영산이자 명산이다. 소나무를 많이 볼 수 있어 목멱산(木覓山)이라 불리었다. 목멱산 잠두봉에서 바라 본 서울은 산과 산이 연결되어 아늑하다. 안산에서 무악재 너머 인왕산 곡성과 정상이 보인다. 인왕산 기차바위를 따라 저 멀리 삼각산이 병풍처럼 펼쳐진다. 하늘 아래 비봉과 향로봉, 보현봉 그리고 백운대, ...

  • 인왕산 접시꽃 아시나요?

     인왕산 기차바위를 내려오니 여러 갈래 길이 보인다. 세검정에 물 흐르는 홍제천길, 석파정 별당이 보이는 홍지문길 어느 길로 갈까 잠시 고민한다. 성곽길 따라 걸으니 어느덧 창의문이 보인다. 누각과 성벽 사이 감나무에 꽃이 떨어져 열매가 열렸다. 성벽을 보니 담쟁이 넝쿨이 하늘에 닿는다. 뽕나무에 달린 열매도 색깔이 바뀐다. 빨강에서 검정으로 오디가 주렁주렁 매달렸다. 성문과 성벽 사이에 계절이 바뀐다. 한여름으로 가는 길목이다.   성곽길 따라 발길을 옮긴다. 한양도성 옛길에는 절기를 알리는 꽃들이 천지다. 비 개인 성곽길은 언제 걸어도 상쾌하다. 소나기 지나간 파란 하늘엔 하얀 구름이 두둥실 떠 있다. 인왕산 성곽에서 손을 뻗으면 목멱산 N타워가 잡힐 듯 코앞에 있다. 서울이 이렇게 아름다웠던가. 도성안과 밖에 붉은색, 연분홍색, 하얀색 꽃이 홑겹으로 피었다. 겨울을 견디어 핀 꽃이다. 성 안과 성 밖 고향집에도 탐스럽고 향기롭게 피었다. 꽃 모양과 열매의 둥근 모양이 접시를 닮아 접시꽃이다.    접시꽃은 누구에게나 친근하다. 역사가 깊은 꽃이다.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피는 전통 꽃이다. 마을 어귀,길가와 담장 안과 밖에 아름답게 피어 여름을 알린다. 고향집 돌담길에도 벌과 나비가 즐겨 찾는 꽃이다. 도종환의 ‘접시꽃 당신’ 이전에 고운 최치원이 ‘촉규화(蜀葵花)’를 노래한 시구가 전해온다.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에, 흐드러지게 핀 꽃송이 약한 가지를 누르네. 매화비 개니 향기 날리고 보리 바람에 그림자 흔들린다.’ 고운 최치원은 육두품의 서러움을 활짝 핀 접시꽃에 담아 노래했다.   접시꽃은 키가 크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여름 땡볕 속

  • 사직단(社稷壇)은 꿈과 희망을 나누는 길

     인왕산 곳곳이 꽃밭이다. 봄에서 여름으로 가는 길목에 나무와 꽃들이 울울창창하다. 소나무도 새순과 함께 송화 봉우리가 터질 듯 부풀어 오른다. 이른 아침 인왕산 성곽길 따라 사람들이 즐비하다. 연두색으로 갈아입은 산허리에서 서울 한복판을 바라본다. 경복궁과 창덕궁이 푸르게 우거지고 있다. 창경궁과 긴 지붕이 펼쳐진 종묘(宗廟)도 한 뼘처럼 가깝게 보인다. 인왕산 자락 사직단이 단출하고 고요하지만 꽃들로 가득하다.   사직단은 사단(社壇)과 직단(稷壇)으로 되어있다.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신성한 공간이다. 사직단은 단출하지만 종묘보다 의미가 크다. 궁과 궐처럼 건축물은 없지만 하늘에 제를 올리는 중요한 터다. 토지가 있는 곳엔 곡식을 심었다. 곡식을 심는 곳에 비와 물이 필요했다. 가뭄에 맞서 기우제를 지냈고, 풍년을 위해 기곡제를 지냈던 의미있는 공간이다. 사직단은 만인을 위해 꿈과 희망을 심었던 곳이다.   사직단에는 곰솔 같은 소나무와 키 큰 느티나무가 고향처럼 반긴다. 광화문 역사광장에서 걸어서 10분 거리, 새소리와 바람소리만 들린다. 빌딩과 빌딩 숲속에서, 차량과 차량 속에서 번잡함과 소란함이 어느새 사라졌다. 바람이 향기롭다. 정문을 지나 북신문(北神門)을 열고 3단 흙으로 된 사단과 직단을 바라보면 마음이 차분 해 진다. 600여 년 전 1,000여명이 제를 지냈던 그날이 머리 속에 그려진다. 만인을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길을 걸으며 정성을 다했던 모습이 떠오른다.    사직단은 사직공원이 아니다. 궁과 궐에 왕이 살 듯, 종묘에 왕과 왕비의 혼을 모셨다. 사직단은 나라의 근간인 토지와 곡식의 풍요를 빌었던 신성한 공간이

  • 제주를 가는 또 다른 길 <사색의 길>을 따라 걷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을 찾아 나선다. 땅 끝 마을 해남에서 바다 건너 제주(濟州)를 향해 간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은 어디일까. 백두대간의 끝 지리산을 따라 바다 밑까지 연결된 1,950m 한라산(漢拏山)이다. 100여 년 전에는 어떻게 갈 수 있었을까. 제주는 신비의 땅이었다. 육지와 동떨어진 섬나라이었다. 역사 속에 전해 온 그대로 탐라(耽羅)다.    제주로 가는 길은 많다. 서울에서 비행기를 타면 1시간이면 따뜻한 도...

  • 유배길에서 추사 김정희 ‘세한도(歲寒圖)’를 만나다

     옛 그림을 잘 감상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옛 사람의 눈으로 보고 옛 사람의 마음으로 느껴야 한다. 마치 옛길을 걷듯이 산 속에서 바람소리와 새소리를 듣듯이 그 옛날로 시간여행을 떠나야 한다. 그리고 천천히 보아야 한다. 달팽이와 소의 걸음처럼 느릿느릿 와행우보(蝸行牛步)하며 그린 이의 진심과 통해야 한다. 그림을 통해 그 시대의 풍속과 계절 그리고 문화를 읽어 내면 금상첨화가 아닐 수 없다.   제주를 날아간다.  뿌연 미세먼지를 뚫고 1시간이면 족하다. 청명한 하늘에 구름과 바람만이 이 도시의 주인이다. 걷고 싶다. 찰랑대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걷는다. 한라산 꼭대기에는 아직 하얀 눈덩어리가 보인다. 그래도 제주의 돌담길에는 노란 꽃들이 피어나고 있다. 바람과 돌이 많은 제주. 산천단(山川壇)을 지나 1100 도로를 향해 가니 30분 안에 서남쪽 끝 대정(大靜)이다.   180년 전 추사(秋史) 김정희는 한양에서 제주도 대정까지 유배길에 오른다. 도성을 나와 강을 건너 산을 넘고 길을 걸어 머나먼 땅 끝 마을에 도착한다. 해남 대흥사(大興寺)에서 초의선사가 준 마지막 차 한 잔을 마신 후 망망대해 죽음을 무릅쓰고 제주성(濟州城)을 향한다. 죄가 무거울수록 왕과 멀리멀리 떨어져 지내야 했다. 다시 제주성문을 나가 한반도에서 가장 먼 대정현에 위리안치 되었다. 과연 얼마나 먼 길을 며칠 몇 달을 걸었던 걸까? 그의 나이 55세 때 일이다.   기력은 점차 쇠진하여 가고, 힘들고 외로울 때 추사는 책을 읽었다. 책을 구하기 힘들었을 시절 제자인 역관 이상적이 연경에서 책을 구해 제주 대정까지 보내 주었다. 8년 3개월 기약 없는 유배생활에 차를 마시며 선정에 들었다. 험난한

  • 의암(義菴) 손병희 선생을 만나러 만세길을 걷는다

    '우리가 만세를 부른다고 당장 독립이 되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겨레의 가슴에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하기 때문이오. 이번 기회에 꼭 만세를 불러야 하겠오.'   100년 전 바위처럼 단단하고 의로운 <의암> 손병희 선생의 말씀이 생각난다. 민족대표 33인을 변함없이 이끈 따뜻한 리더다. 쉬지 않고 멈추지 않으며 끝없이 독립을 위해 삶을 바쳤다. 마음 하나로 민족을 이끄신 교육자이자, 3.1운동을 시작한 독립운동가다.    ...

  • 오늘 만해 ‘한용운’을 만난다!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 시구를 되새기며 백악산 성곽길 따라 마을로 내려온다. 도성안과 밖은 기나긴 성벽을 경계로 나뉜다. 도성 안은 북촌인 삼청동. 도성 밖은 북정마을 성북동이다. 골목골목을 내려오니 삼각산 북쪽을 바라 본 집 한 채가 향나무와 함께 있다. 바람은 차갑고 눈발이 휘날린다. 하지만 따뜻한 온기가 전해지는 한옥이다. 잃어버린 나를 찾는 곳. 바로 심우장(尋牛莊)이다.   만해 한용운의 생애 유일한 집이다. 택호를 심우장으로 정하고 그곳에서 11년 집필생활을 하며 삶을 마무리 했다. 나를 찾고 나라를 되찾으려 마지막까지 변함없이 독립운동을 했다. 아쉽게도 독립을 보지 못한 채 그의 시구처럼 님은 갔다. 하지만 심우장은 86년 세월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마음의 안식처가 되었다. 소를 찾듯 나를 찾고, 나라를 찾듯 역사를 찾은 곳이다. 3.1운동 100주년에 가족과 함께 심우장을 가고 싶다.   1879년 충청도 홍성에서 태어난 한용운은 월정사와 백담사에서 연곡스님을 만난다. 불경 공부와 참선에 열중하며 넓은 세계를 찾아 끊임없이 연마했다. 불교의 개혁과 불경의 대중화를 위해 주제별로 역은 책도 편찬한다. <불교대전>은 불경을 엮은 최초의 책이다. 불교 근대화의 선구자다. 1918년 잡지 <유심>에서 계몽적인 글과 문학에 관심을 표출한다. 그 당시 최남선과 최린, 백용성이 글을 기고하며, 1919년 3.1 독립선언서의 기초를 쌓은 교두보다.   민족대표 33인 중 백용성과 한용운은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만해 한용운은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에 ‘최후

  • 110년 전 안중근 의사를 생각하며...

      2.8 독립선언일이다.  항일투쟁 사상 최초의 독립선언서를 작성하고, 결의하며 낭독한 날이다. 100년 전이다. 1919년 2월 8일 오후 2시 일제 강점기에 일본 도쿄 한복판에서다. 일본에 유학 중인 학생들이 중심이 되었다. 조선 청년독립단 대표 최팔용과 이광수가 독립선언서를 작성하고, 낭독했다. 학생들이 중심이 됐다. 의연한 청년들이다. 2.8 독립선언은 국내에 알려져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도화선이 됐다.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다.  3.1운동의  발화선은  하얼빈역에서 의연한 청년 안중근에서 비롯된다.   1909년 10월 26일 9시30분경  의장대 사열 10보 앞까지 뚜벅뚜벅 걸어갔다. 대담한 걸음이었다.  의연한 순간이었다. 탕! 탕! 탕! 브라우닝 권총 3발에 이토 히로부미가 무릎을 꿇는다.  ‘코레아 우라!’ 를 목청껏 외친다, ‘코레아 우라!’ 대한민국 만세! 만세! 만세!  하얼빈역에 울려 퍼진 소리다.      110년 전 뤼순감옥에서 대한민국 참모중장 토마스 안중근의 죽음이 있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15가지 이유를 말하며 동양 평화론을 설파한다. 그리고 독립운동가 어머니이신 조 마리아는 장남에게 마지막 편지를 보낸다. 어머니가 직접 만들어 준 비단 수의를 입고 1910년 3월 26일 10시 형장의 이슬이 된다. 짧은 시간에 수많은 유묵과 책을 집필하며 31세 젊은 나이에 순국한다. 봄비 내리는 3월 여순 감옥 묘지에 침관 된다. 안타깝게도 현재는 효창원에 가묘만 있을 뿐이다.   역사는 흐르고 또 다른 시작을 알린다. 사람을 소중히 생각하신 분. 안중근 의사를 만나러 목멱산을 오른다. 목멱산 정상에 오르기 전  안중근 의사 상(像)이 우뚝 서

  • 유관순 열사의 묘(墓)는 어디에...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꽃다운 나이 타오르는 불꽃처럼 인왕산 자락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하신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말씀이다. 100년 전 천안 헌병대에서 공주 감옥으로 다시 서대문 감옥으로 이감되어, 운명 같은 길을 간다. 1914년 공주 영명학교에서 샤프 선교사(A.J. Hammond Sharp, 사애리시)를 만난다. 교육 목표가 신앙인으로, 나라와 겨레를 위하여 몸 바치는 애국정신...

  • <딜쿠샤의 비밀>를 아시나요?

     인왕산과 목멱산 사이 성곽이 호랑이 꼬리처럼 펼쳐져 있다. 성벽과 성문이 이어진다. 산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은 높지만 그다지 험하지 않다. 바위가 많고 나무가 울창하다. 순환도로에 도착하니 도성 안과 밖이 한눈에 있다. 사직동과 무악동이 경계이다. 450여 년을 살아온 은행나무가 이 마을의 수호신처럼 우뚝 서있다. 도원수 권율장군의 집터다. 행촌동(杏村洞)이다.   오래된 성벽과 오래 산 은행나무 옆에 붉은 벽돌집이 있다. 서양식 근대 건축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붉은 벽돌 구조다. 역사와 예술의 공간이다. 시간이 잠시 멈춘 듯 비장하고 고요하다. <딜쿠샤 1923 (DILKUSHA 1923)>라 쓰여 있다. ‘기쁨과 이상향, 행복한 마음이 전해지는 꿈의 궁전’이라는 힌두어다. 광산 엔지니어이자 UPI 통신원인 앨버트 테일러의 집이다. 3.1운동과 독립선언서를 전 세계에 타전한 미국인이다.   3.1운동 후 지방 곳곳에 이어진 만세운동도 기사화해 알렸다. 화성 제암리 학살사건도 앨버트 테일러와 스코필드가 있어 가능했다. 그는 일제 강점기 사업가로서 그리고 언론인으로서 혹독한 시간도 보냈다. 태평양 전쟁이 임박하자 앨버트 테일러는 서대문 형무소에 부인인 메리 테일러는 <딜쿠샤>에 가택 연금된다. 이후 강제 추방되어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난다.    꽁꽁 묶어 있던 <딜쿠샤>의 비밀은 아들 브루스 테일러가 방문하며 알려졌다. 1919년 2월 28일 세브란스병원에서 독립선언서와 함께 태어났다. 어린 소년은 87세 노구로 책 한 권을 가지고 왔다. 인왕산 성곽길 따라 제일 높은 곳에 집을 지었던 추억도 되새겼다. 성벽 아래 드넓은 집터. 커다란 은행나무와 큰 우물이 있던

  • 다산의 삶속에서 인생을 찾는다!

    <60년 풍상 세월 눈 깜짝할 사이 흘러 복사꽃 활짝 핀 봄 혼인하던 그해 같네 살아 이별 죽어 이별 늙음을 재촉하니 슬픔 짧고 즐거움 길어지니 그 은혜에 감사하네>   60년 해로 한 부부의 인연을 가슴 절절한 시(詩)로 옮긴 '회근시(回巹詩)' 다. 이 시 한 수 들으러 한강을 거슬러 양수리에 머물다. 안개 자욱한 두물 머리에서 물안개 사라지듯 다산의 삶을 그려보니 가슴이 먹먹하다. 다산은 여유당에 모인 친인척과 후학들에...

  • 인생 길은 걸으면서 만들어 진다!

      삼각산 따라 백악산을 내려오면 가장 낮은 산이 눈에 머문다. 혜화문에서 흥인지문에 펼쳐진 성벽은 낮은 산 정상인데도 한 눈에 들어온다. 정상은 해발 125m 남짓이다. 그야말로 동산이다. 이곳에 서면 한양도성이 퍼즐처럼 연결되며 파노라마를 연출한다. 묘하게도 정상에서 바라 본 서울은 마치 하나의 산과 같다. 말하자면 산과 산이 이어져 있다. 울울창창 나무와 숲이 그 산 속에서 낙타의 등처럼 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 바로 낙타산이다.   낙타산 정상에 서면 인왕산이 마주 보인다. 세 개의 봉우리가 편안하게 모여 있다. 빽빽한 숲과 숲 사이 화강암 덩어리가 희끗희끗한 자기 색을 살포시 드러낸다. 아마 겸재 정선이 이곳에 올라 그림을 구상 했을 듯하다. 그는 인왕산 너머 서해를 향하는 석양도 그렸다. 인왕산과 백악산 그리고 목멱산이 한 뼘이다. 뉘엿뉘엿 해가 지면 ‘인왕석양’을 볼 수 있다. 서쪽 산은 석양에 물들어 간다. 낙타산 정상은 석양루가 제격이다. 4계절 24절기 언제나 아름다운 산으로 변한다.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을 바라본다. 강추위가 오면 차가운 바람이 낙타산에 머문다. 산이 보이고 청계천이 한눈에 들어온다. 저 멀리 삼각산(三角山) 봉우리가 에워싸고 등 뒤에 용마산과 아차산이 펼쳐져 있다. 병풍처럼 펼쳐진 삼각산은 836.5m다. 삼각뿔처럼 서울을 포근히 감싸고 있다. 백운대, 만경대, 인수봉을 보고 있으면 온몸으로 활기찬 기운을 맞는다. 동서남북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김정호의 수선전도 그림 같이 멋지다.   서울 도심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산이 낙타산이다. 뿐만 아니라 가장 편하게 오를 수 있는 성곽이 낙타산 성곽길이다.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