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지옥고'와 '지방소멸' 문제, 한꺼번에 해결하는 방법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가 빈번한 반지하에 대해 서울시와 정부에서 반지하 거주자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반지하 가구는 2020년 기준 20만849가구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침수지역에 위치한 주택도 6만1275가구나 된다고 하네요. 2회 이상 침수된 전력이 있는 반지하 주택도 1만2889가구에 이릅니다.서울시는 실태조사를 하고 매년 반지하는 물론 고시원, 쪽방 등 주거 취약계층에 대해 조사를 해서 맞춤형 대책을 만들겠다고 합니다. 하지만 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주거 취약계층 대부분은 기초생활수급비와 장애수당 등에 의존하는 분들입니다.서울의 전용 40㎡ 이하 연립·다세대 주택은 반지하와 지상층 보증금이 1억원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취약계층이 감당하기 어려운 액수이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지원하는 전세보증금을 이용해도 부족하다고 하네요. 고시원·쪽방 거주자도 2020년 기준 44만8000가구에 달한다는데 주거복지 예산으로 해결하는 것 역시 어렵습니다. 더 현실적인 방안은 없을까요?인구소멸 위기를 겪는 지방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외국인 노동자 입국이 급감하면서 농촌은 심각한 일손 부족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인건비가 60% 정도 올라 일당이 15만원이 됐는데도 사람이 없다네요. 고용노동부가 구인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력 입국 쿼터를 1만명 확대하기로 할 정도입니다.바꿔 생각하면 서울이나 수도권 지옥고라고 불리는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쪽방 거주자들에게 지방은 일자리와 주거 공간을 동시에 제공하기 용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각 지자체에서 귀농·귀촌 희망자

  •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파야 하나…MZ세대와 취업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파야 하나?” MZ세대는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합성어로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을 지칭한다. MZ세대는 디지털 친화적인 특성을 갖추고 개인과 사회의 이슈에 민감한 성향을 보인다. MZ세대는 기성세대 보다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뚜렷하게 표현하며,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 최근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논쟁과 젠더 차별에 대한 형평성 논쟁이 그 예라고 할 ...

  • 사라지는 낭만의 꼬부랑길

    사라지는 “낭만의 꼬부랑길” 예전에 속초를 갈 때는 신남과 홍천을 지나며, 길가에 있는 옥수수와 찐 감자를 사 먹고, 인제 내린천에 발을 담그고 놀면서 천천히 갔다. 돌아오는 길에는 미시령을 넘으며 도랑에 발을 담그고, 명태를 말리는 곳에서 황태를 사기도 했다. 지금은 시원하게 뚫린 고속도로를 달리며 두어 시간 만에, 서울과 속초 강릉을 아주 빠르고 편하게 달린다. 여행의 목적지를 향해 급하게 달리는 질주 본능만 남아 있다. 길 옆의 산간마을을 구경하고 하늘을 바라보는 낭만은 사라졌다. 낭만의 멋만 사라졌을까? 주변지역 마을의 경제가 무너지고 있다. 감자와 옥수수를 사 먹는 사람이 없고, 보리개떡과 막걸리도 팔 수 없게 되었다는 거다. 도시와 마을마다 이어지는 널찍한 고속도로 때문에 시골의 인심을 차가워지고, 길가의 정취는 사라졌으며, 차를 타고 빠르게 오가는 사람들은 낭만을 잃었다. 여행이란, 목적지에 도착하여 먹고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오가며 떠들면서, 내렸다 탔다 하면서, 우연히 만나는 사람들끼리 수다를 떠는 기쁨도 있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인정이 싹트고, 아이들 인성교육도 저절로 되는 건데, 오로지 놀러 가고자 하는 목적에 눈이 어두워, 오가며 느낄 수 있는 자연경관은 아예 모른 체 스쳐지나다닌다. 과연 곳곳에 뻥 뚫어 놓은, 널찍한 도로는 문명의 이기(利器)일까, 낭만의 파괴자일까? 오가는 차량도 별로 없는 지방도로를 빠르게 달리면서 또는 텅 빈 버스들이 가득한 시골 도시의 공영터미널을 다니다 보면 궁금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다니는 차량도 많지 않은 이 지역에 이렇게 넓은 길이 필요할까? 손님도 별로 없는 버스나 기차

  •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육, 취업교육이 되어야 할까 창업교육이 되어야 할까...?

    최근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많은 이슈들이 떠오르고 있다. 특히 산업계의 직업의 변화와 인간의 역할이라는 부분이 큰 이슈가 되고 있는데 그 중에 가장 핫한 이슈는 바로 일자리이다.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 우리 아이들을 위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 우리가 4차 산업혁명하면 인공지능(AI), 로봇, 컴퓨터, 빅데이터, 크라우딩, 3D프린팅, 생명과학, 정보통신, 나노 바이오 기술 등을 떠올리게 된다. 이 모든 것들의 목적은 인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