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인도네시아 휩쓰는 '히즈라' 현상

    ‘히즈라’. 선지자 무함마드가 서기 622년 메카를 떠나 메니다로 이주한 ‘사건’을 일컫는 말이다. 당시 메카는 이슬람을 탄압했다. 초기 이슬람 세력은 새로운 근거지가 필요했다. 이런 의미에서 메니다로의 이전은 이슬람의 실질적인 출발점이다. 히즈라가 이슬람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닌 사건으로 불리는 이유다. 얼마나 중요하던지 이슬람 달력은 히즈라가 일어난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다. 이 단어가 요즘 인도네시아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무림이면서도 종교적인 계율과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살지 않던 사람이 보다 종교적인 원칙에 충실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을 ‘히즈라한다’(berhijrah)는 용어로 표현한다. 개인의 종교적 삶에 있어 중요한 결심과 전환을 히즈라라는 역사적 사건을 빌려 표현하는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인구의 약 85% 이상이 무슬림이며, 단일 국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이 사는 나라다. 인도네시아의 이슬람은 상대적으로 다원적이고 유연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최근 몇년 사이에 보다 정통적인 교리와 계율 준수를 강조하는 엄격한 형태로 바뀌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히즈라’ 현상이 과거와 다른 점은 대중매체와 SNS, 또래문화의 영향을 통해 특히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짧은 시간에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가히 하나의 현상이라고 할만 하다. 지난 6월 인도네시아 유력 시사주간지인 ‘템포(Tempo)’지는 이 히즈라 현상, 그 중에서도 특히 연예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특집기사로 실었다. 이전까지 락밴드에 소속돼 음악 활동을 하던 가수가 어떤 계기로 명성과 부가 보장된 화려한 연예

  • 할랄과 한옥고택의 만남을 기다리며

    앗살람 알라이쿰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 며칠 전 흥미로운 교육에 참여하였다.  마포의 서울창업허브에서 실시한 “할랄 친화 관광 코디네이터 과정”이다.  이슬람이라는 선입관 때문인지, 참석자들이 많지 않으리라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고등학생을 포함하여 약 40여 명이 5일 동안 참석한 꽤 규모가 있는 교육이었다.  관광, 음식, 숙박 및 비즈니스까지의 할랄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과정이었다.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 반대로 “하렘(Harem)”은 “금지된 것”이라는 뜻이다.  이슬람 문화에서의 먹거리는 종교적으로 허용된 할랄 음식만이 가능하다.  돼지 성분이나 알코올이 제외되고, 이슬람 율법에 의하여 도축된 육류만이 섭취가 가능한 것이다. 필자는 이집트와 터키를 포함한 이슬람권 국가에서 8년을 보낸 적이 있다.  중동에서 생활하는 외국인들은 몇 번의 “라마단(금식)”을 보냈는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긴 하루의 금식이 끝나고 처음 접하는 “이프타르(Iftar) 식사”를 함께하면서 문화의 이해가 깊어지기 때문이다.  이프타르는 아낌없는 나눔의 음식이다.  라마단 기간에는 누구나 빈부격차 없이 식사를 함께 할 수 있다.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표현되는 곳이 거리의 이프타르의 풍경이다.  종교적인 실천을 통하여 구원을 받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할랄 문화권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그들이 멀리 중동 지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가까운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가 할랄 문화권이다.  문화적인 이해란 문화 다양성의 공감을 의미한다.  우리 전통문화에 이문화 다양성

  • 글로벌 패션기업들, '히잡'에 눈독을...

    테헤란 메흐라바드 공항에 도착한 박 대통령에게 카메라 후레쉬가 집중됐다. 지난달 1일 이란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이란식 히잡(Hijab) '루싸리'를 두른 채 트랩을 내려섰다. 非 이슬람 국가 여성 정상의 이란 방문도 처음인데다 히잡 쓴 모습 자체가 충분히 이슈 거리가 되었기 때문이다. 히잡 쓴 박대통령의 모습은 실시간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 “히잡은 여성인권 억압의 도구인데, 여성인 박 대통령이 착용한 건 이치에 맞지 않다”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