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낚시꾼과 시인, 이생진

    낚시꾼과 시인 이생진 그들은 만재도에 와서 재미를 못 보았다고 한다낚싯대와 얼음통을 지고 배를 타기 직전까지도그 말만 되풀이했다날보고 재미 봤냐고 묻기에나는 낚시꾼이 아니고 시인이라고 했더니시는 어디에서 잘 잡히느냐고 물었다등대 쪽이라고 했더니머리를 끄덕이며 그리로 갔다 [태헌의 한역]釣客與詩人(조객여시인) 衆曰吾等到滿財(중왈오등도만재)而今不得享滋味(이금부득향자미)竟至上船重言復(경지상선중언부)于余忽問滋味未(우여홀문자미미)答曰余非釣客是詩人(답왈여비조객시시인)還問詩者何處可易漁(환문시자하처가이어)伊余對以燈臺邊(이여대이등대변)衆客點頭向彼如(중객점두향피여) [주석]* 釣客(조객) : 낚시하는 사람, 꾼. / 與(여) : ~와, ~과. 명사를 병렬하는 접속사이다. / 詩人(시인) : 시인.衆曰(중왈) : 여러 사람들이 ~라고 말하다. / 吾等(오등) : 우리, 우리들. / 到(도) : ~에 오다, ~에 도착하다. / 滿財(만재) : 만재도(滿財島) : 만재도(晩才島) 혹은 만재도(晩材島)로 표기하기도 하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딸린 작은 섬으로 낚시로 유명하다.而今(이금) : 지금, 지금까지. / 不得(부득) : ~을 하지 못하다. / 享滋味(향자미) : 재미를 보다. ‘滋味’는 맛있는 음식이나 맛이라는 뜻 외에도 흥취, 재미라는 뜻도 있는 한자어이다.竟(경) : 마침내.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至上船(지상선) : 배를 탈 때까지. ‘上船’은 ‘승선(乘船)’과 같은 말이다. / 重言復(중언부) : 같은 말을 다시 (되풀이하다). 간단히 중언부언(重言復言)의 줄임말로 이해해도 된다. ※ 지금까지의 3구는 원시의 첫 3행을 약

  • 산은 책이다, 이생진

    <사진 제공 : 노용복님> 산은 책이다 이생진 산은 뜻 깊은 책이다책장을 넘기지 않아도 읽을 수 있는 수려한 문장구름을 읽다가 바위 곁으로 가고바위를 읽다가 다시 구름 곁으로 간다 [태헌의 한역]山卽篇(산즉편) 山是何(산시하)意深篇(의심편)不借翻書勞(불차번서로)可讀秀文連(가독수문련)閱雲忽堪到巖傍(열운홀감도암방)讀巖復能至雲邊(독암부능지운변) [주석]* 山卽篇(산즉편) : 산은 곧 책이다. ‘篇’은 본래 종이 대신 “글씨를 쓴 대쪽을 끈으로 엮어 맨 책”을 의미하던 글자였기 때문에, 역자가 이 한역시의 압운을 고려하여 ‘書(서)’를 대신해서 사용한 글자이다.山是何(산시하) : 산은 무엇인가? 한역시의 행문(行文)을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로 설정한 의문문이다.意深(의심) : 뜻이 깊다.不借(불차) : 빌리지 않다. / 翻書(번서) : 책장을 넘기다. / 勞(노) : 수고하다, 수고. ※ 이 구절은 원시의 “책장을 넘기지 않아도”를 약간 의역하여 표현한 것이다.可讀(가독) : 읽을 수 있다, 읽을 만하다. / 秀文(수문) : 빼어난 문장, 수려한 문장. / 連(연) : 이어지다, 잇닿다. 한역시의 행문(行文)과 한역시의 압운을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로 보탠 글자이다.閱雲(열운) : 구름을 읽다. 구름을 본다는 뜻이다. / 忽堪(홀감) : 문득 ~을 할 수 있다. 원시의 명쾌한 의미 전달과 한역시의 행문을 동시에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로 보탠 말이다. / 到巖傍(도암방) : 바위 곁에 이르다, 바위 곁으로 가다.讀巖(독암) : 바위를 읽다. 바위를 본다는 뜻이다. / 復能(부능) : 다시 ~을 할 수 있다. 이 역시 원시의 명쾌한 의미 전달과 한역시의 행문을 동시에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

  • 부자지간, 이생진

    부자지간 이생진 아버지 범선 팔아 발동선 사이요 얘 그것 싫다 부산해 싫다 아버지 배 팔아 자동차 사이요 얘 그것 싫다 육지놈 보기 싫어 그것 싫다 아버지 배 팔아 어머니 사이요 그래 뭍에 가거든 어미 하나 사자 [태헌의 한역(漢譯)] 父子之間(부자지간) 父邪今賣帆船買機船(부야금매범선매기선) 兒兮余惡船中聲紛繽(아혜여오선중성분빈) 父邪然則賣船買動車(부야연즉매선매동차) 兒兮余嫌車上看陸人(아혜여혐차상간륙인) 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