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元月十五夜(원월십오야), 姜聲尉(강성위)

    <필자의 조부님 생전 모습>[원시]元月十五夜(원월십오야) 姜聲尉(강성위) 春風忽已着簷端(춘풍홀이착첨단)十五夜窓開未寒(십오야창개미한)天際月輪斜仄易(천제월륜사측이)紅塵世上滌愁難(홍진세상척수난) [번역]정월 대보름 밤에 봄바람이 어느덧 처마끝에 이르러보름 밤에 창 열어도 춥지를 않네하늘가 달이야 쉬이도 기울건만홍진세상 시름은 씻기 어렵구나 [주석]· 元月(원월) : 정월(正月), 음력 1월. / 十五夜(십오야) : 보름밤.· 春風(춘풍) : 봄바람. / 忽已(홀이) : 어느새, 어느덧. / 着(착) : ~에 달라붙다, ~에 이르다. / 簷端(첨단) : 처마끝.· 十五夜窓(십오야창) : 보름날 밤 창문. / 開未寒(개미한) : 열어도 춥지가 않다.· 天際(천제) : 하늘의 끝, 하늘가. / 月輪(월륜) : 둥근 달, 달. / 斜仄(사측) : 기울다. / 易(이) : ~하기가 쉽다.· 紅塵世上(홍진세상) : 홍진세상, 인간세상. / 滌愁(척수) : 시름을 씻다. / 難(난) : ~하기가 어렵다. [시작노트]이번 주 토요일은 입춘이고 그 다음 날인 일요일은 정월 대보름이다. 입춘과 정월 대보름이 연이은 것을 잠시 생각하고 있자니 필자가 아득한 옛날에 지었던 시 한 수가 보름달처럼 떠올랐다. 필자에게는 습작기 내지 초기의 작품이 되는 이 시는, 필자가 미혼이던 그 어느 해 정월 대보름날 밤에 지은 것이다. 이 시를 얘기하자면 다소 장황할지도 모르는, 시가 지어지게 된 내력부터 시작해야 할 듯하다. 필자는 소년 시절에 조부님과 함께 거처한 날이 손자들 가운데 누구보다도 더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조부님은 필자가 태어나기 6년 전에 급성 질환으로 실명(失明)을 하신 상태여서, 잔심부름을 해줄 아이가

  • <특집 : 소동파(蘇東坡)의 시로 맛보는 한시(漢詩)의 멋> 雪後到乾明寺遂宿(설후도건명사수숙), 蘇東坡(소동파)

    ※ 오늘은, 역자가 제법 여러 해 전 이 무렵에 어느 기관지(機關紙)을 통해 발표한 글인 <소동파(蘇東坡)의 시로 맛보는 한시(漢詩)의 멋>으로 칼럼을 대신합니다. 평소 역자의 칼럼 양식과 다소 거리가 있지만, 애초의 발표 당시 모습 그대로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따로 고치지는 않았습니다. 이점 양해를 바라며 독자 여러분들의 새해 만복(萬福)을 기원합니다. 【소동파(蘇東坡)의 시로 맛보는 한시(漢詩)의 멋】<전언(前言)>중국 시의 관형어로 우리가 쉽사리 ‘당(唐)’을 떠올리게 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당대(唐代)에 이백(李白)이나 두보(杜甫)와 같은 불세출의 대시인들이 끊임없이 출현한 때문이지만, 송대(宋代)의 송시(宋詩) 또한 그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중국 시 세계의 한 축이 되고 있음은 엄연한 사실이다. 송대 최고의 시인이라 할 수 있는 소동파(蘇東坡)의 시를 통해 당시(唐詩)와는 또 다른 송시의 맛을 보며, 작은 기쁨에도 만족할 줄 알았던 시인의 따스한 품새를 느껴보도록 하자. ***** 겨울은 눈이 있어 비로소 공평한 계절이 된다. 옛사람들도 모든 것을 새하얗게 덮은 설원(雪原)을 무척이나 사랑했다는 사실은 아래에 소개할 소동파의 시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그 순백의 설원을 보며 옛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 설원을 노래한 시를 통해 무슨 말을 들려주고자 했을까? 여기 소동파의 시가 들려주는 작은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雪後到乾明寺遂宿(설후도건명사수숙) 門外山光馬亦驚(문외산광마역경)階前屐齒我先行(계전극치아선행)風花誤入長春苑(풍화오입장춘원)雪月長臨不夜城(설월장림불야성)未許牛羊傷至潔(미허우양상지결)且看鴉雀弄

  • 네 곁에서, 정백락

    <사진 제공 : 정백락님> 네 곁에서   정백락   나 차마 비웠다고 말하지 않으리   나 결코 올곧다고 입 열지 않으리   입 닫고 말씬한 푸름으로 너볏하게 서리   [태헌의 한역] 於君傍(어군방)   吾不敢言心倒空(오불감언심도공) 亦決無誇身正雅(역결무과신정아) 緘口常帶濃靑色(함구상대농청색) 一向堂堂立天下(일향당당립천하)   [주석] * 於(어) : ~에서. 처소를 나타내는 개사(介詞). / 君傍(군방) : 그대 곁. 원시의 ‘네’를 역자가 ‘汝(여)’로 번역하지 않고 ‘君(군)’으로 번역한 이유는 위진남북조 시기의 왕휘지(王徽之)가 대나무를 ‘此君(차군:이 사람·이 분)’으로 부르며 그 격을 높였던 사실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吾(오) : 나. / 不敢言(불감언) : 감히 말하지 못하다, 감히 말하지 않다. / 心(심) : 마음. / 倒空(도공) : 쏟아서 비우다, 비우다, 비다. 亦(역) : 또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決(결) : 결코. / 無誇(무과) : 자랑함이 없다, 자랑하지 않다. 원시의 “입 열지 않으리”를 역자가 의역한 말이다. / 身(신) : 몸. / 正雅(정아) : 바르고 고아하다, 올곧다. 緘口(함구) : 입을 다물다. / 常(상) : 항상, 늘.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帶(대) : ~을 두르다, ~을 띄다. / 濃靑色(농청색) : 짙은 푸른 빛, 농익은 푸른 빛. 一向(일향) : 언제나.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堂堂(당당) : 당당하다, 당당하게. / 立(입) : ~에 서다. / 天下(천하) : 하늘 아래, 천하.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