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물메기국 넘어가는 소리에 목이 메던 풍경이 있었네

    아버지의 빈 밥상                            고두현 정독도서관 회화나무 가지 끝에 까치집 하나   삼십 년 전에도 그랬지 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 토담집 까치둥지   어머니는 일하러 가고 집에 남은 아버지 물메기국 끓이셨지 겨우내 몸 말린 메기들 꼬득꼬득 맛 좋지만 밍밍한 껍질이 싫어 오물오물 눈치 보다 그릇 아래 슬그머니 뱉어 놓곤 했는데 잠깐씩 한눈팔 때 감쪽같이 없어졌지   얘야 어른 되면 껍질이 더 좋단다   맑은 물에 통무 한쪽 속 다 비치는 국그릇 행구며 평생 겉돌다 온 메기 껍질처럼 몸보다 마음 더 불편했을 아버지   나무 아래 둥그렇게 앉은 밥상 간간이 숟가락 사이로 먼 바다 소리 왔다 가고 늦은 점심, 물메기국 넘어가는 소리에 목이 메기도 하던 그런 풍경이 있었네   해 질 녘까지 그 모습 지켜봤을 까치집 때문인가, 정독도서관 앞길에서 오래도록 떠나지 못하고 서성이는 여름 한낮.   그날 정독도서관 앞 회화나무 아래에 한참 서 있었다. 수령 300년이 넘은 나무의 짙푸른 녹음 때문이었을까. 가지 위에 초가집처럼 얹힌 까치둥지 때문이었을까. 문득 어릴 적 밥상 풍경이 떠올랐다. 국민학교 5~6학년 무렵이었다. 그때 우리는 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 토담집에 살았다. 집도 절도 없어서 오랫동안 절집에 얹혀살다가 계곡 옆에 작은 흙집을 마련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마당가 평상에 앉아 점심을 먹는데 키 큰 회화나무와 까치집이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밥상은 대부분 아버지가 차렸다. 어머니는 몸이 좋지 않은 아버지를 대신해 절집이나 산 아래 마을로 일을 나가는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