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초겨울 편지, 김용택

    초겨울 편지 김용택 앞산에고운 잎다 졌답니다빈 산을 그리며저 강에흰눈내리겠지요 눈 내리기 전에한번 보고 싶습니다 [태헌의 한역]初冬書信(초동서신) 前山佳葉落紛紛(전산가엽락분분)雪懷空山將下江(설회공산장하강)白雪飛前願逢君(백설비전원봉군) [주석]* 初冬(초동) : 초겨울. / 書信(서신) : 편지.前山(전산) : 앞산. / 佳葉(가엽) : 아름다운 잎, 고운 잎. / 落紛紛(낙분분) : 분분하게 떨어지다. 원시의 ‘다 지다’를 다소 의역한 표현이다.雪(설) : 눈. / 懷(회) : ~을 그리워하다. / 空山(공산) : 빈 산. / 將(장) : 장차. / 下江(하강) : 강에 내리다.白雪(백설) : 흰 눈. / 飛前(비전) : 날기 전에, 내리기 전에. / 願(원) : ~을 원하다, ~을 하고 싶다. / 逢君(봉군) : 그대를 만나다. [한역의 직역]초겨울 편지 앞산에 고운 잎 분분히 졌습니다눈이 빈 산 그리며 장차 강에 내리겠죠흰 눈 날리기 전에 그대 보고 싶습니다 [한역 노트]이 시는 한 마디로 말해 시로 쓴 편지이다. 그런데 시로 보기에도 짧지만 편지로 보기에는 더더욱 짧다. 그러나 글이 짧아도 엽서에 적을 내용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제목이 “초겨울 엽서”가 아니라 “초겨울 편지”가 되었을 것이다. 또 편지도 그냥 편지가 아니라 일종의 연애편지이므로, 연애편지 치고는 확실히 “짧은 편지”라고 할 수 있겠다. 역자는 “짧은 편지”라고 하면 언제나 떠오르는 사춘기 시절의 추억이 하나 있다. 정확하게는 역자가 기억하고 있는 한 고향 친구의 에피소드이다. 머리도 좋고 공부도 잘했지만 어려서부터 유난히 장난기가 심했던 그 친구가, 같은 중학교 같은 학년이었지만

  • 쉬는 날, 김용택

    쉬는 날 김용택 사느라고 애들 쓴다 오늘은 시도 읽지 말고 모두 그냥 쉬어라 맑은 가을 하늘가에 서서 시드는 햇빛이나 발로 툭툭 차며 놀아라 [태헌의 한역] 休日(휴일) 君輩圖生費心多(군배도생비심다) 今日只休詩亦置(금일지휴시역치) 立於淸秋靑天邊(입어청추청천변) 脚蹴殘陽喫遊戱(각축잔양끽유희) [주석] * 休日(휴일) : 쉬는 날. 君輩(군배) : 그대들. / 圖生(도생) : 삶을 도모하다, 살다. / 費心多(비심다) : ...

  • 봄날, 김용택

    봄날 김용택 나 찾다가 텃밭에 흙 묻은 호미만 있거든 예쁜 여자랑 손잡고 매화 꽃 보러 간 줄 알아라 [태헌의 한역(漢譯)] 春日(춘일) 君訪吾廬尋吾迹(군방오려심오적) 場圃唯有帶泥鋤(장포유유대니서) 應爲吾伴一美女(응위오반일미녀) 携手暫看梅花去(휴수잠간매화거) [주석] * 春日(춘일) : 봄, 봄날. 君訪吾廬(군방오려) : 그대가 나의 집을 방문하다. / 尋吾迹(심오적) : 나의 자취를 찾다. 場圃(장포) : 텃밭,...

  • 흰 밥, 김용택

    흰 밥   김용택   해는 높고 하늘이 푸르른 날 소와 쟁기와 사람이 논을 고르고 사람들이 맨발로 논에 들어가 하루 종일 모를 낸다 왼손에 쥐어진 파란 못 잎을 보았느냐 캄캄한 흙 속에 들어갔다 나온 아름다운 오른손을 보았느냐 그 모들이 바람을 타고 쓰러질 듯 쓰러질 듯 파랗게 몸을 굽히며 오래오래 자라더니 흰 쌀이 되어 우리 발 아래 쏟아져 길을 비추고 흰 밥이 되어 우리 어둔 눈이 열린다 흰 밥이 어둔 입으로 들어갈 때 생각하라 사람이 이 땅에 할 짓이 무엇이더냐   [태헌의 한역(漢譯)] 白飯(백반)   日高春天碧碧日(일고춘천벽벽일) 人驅耒牛治水田(인구뢰우치수전) 衆人赤足入田裏(중인적족입전리) 盡日揷秧無休眠(진일삽앙무휴면) 君不見左手中靑靑稻苗(군불견좌수중청청도묘) 又不見黑泥裏入出右手(우불견흑니리입출우수) 稻秧因風欲倒下(도앙인풍욕도하) 靑靑屈身生長久(청청굴신생장구) 終竟爲白米(종경위백미) 照耀吾前路(조요오전로) 終竟爲白飯(종경위백반) 開敞吾暗眸(개창오암모) 白飯呑口時(백반탄구시) 吾子思而思(오자사이사) 人生於世間(인생어세간) 做事果是何(주사과시하)   [주석] * 白飯(백반) : 흰 밥, 백반. 日高(일고) : 해가 높다. / 春天(춘천) : 봄 하늘. / 碧碧日(벽벽일) : 푸르른 날, 푸르고 푸른 날. 人驅耒牛(인구뢰우) : 사람이 쟁기와 소를 몰다, 사람이 쟁기를 메운 소를 몰다. / 治水田(치수전) : 논을 고르다. ‘水田’은 논을 가리킨다. 衆人(중인) : 여러 사람들. / 赤足(적족) : 맨발. / 入田裏(입전리) : 전답 안에 들어가다. 여기서 전답은 논을 가리킨다. 盡日(진일) : 진종일, 온종일. / 揷秧(삽앙) : 모를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