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내 안의 당신, 김영재

    내 안의 당신   김영재   강을 건넜으면 나룻배를 버려야 하듯 당신을 만났으니 나를 버려야 했습니다 내 안에 자리한 당신 바로 나이기 때문입니다   [태헌의 한역] 吾中吾君(오중오군)   渡江應捨舟(도강응사주) 逢君已棄吾(봉군이기오) 吾中吾君兮(오중오군혜) 吾君卽是吾(오군즉시오)   [주석] * 吾中(오중) : 내 속의, 내 안의. / 吾君(오군) : 그대, 당신. 渡江(도강) : 강을 건너다. / 應(응) : 응당. / 捨舟(사주) : 배를 버리다. 逢君(봉군) : 당신을 만나다. / 已(이) : 이미. / 棄吾(기오) : 나를 버리다. 兮(혜) : ~야! ~여! 호격(呼格) 어기사(語氣詞). 卽是(즉시) : 바로 ~이다, 곧 ~이다.   [직역] 내 안의 당신   강을 건너면 응당 나룻배를 버리듯 당신을 만나 이미 나를 버렸습니다 내 안의 당신이여! 당신이 바로 나이기 때문입니다   [한역 노트] 이 시의 제1행 “강을 건넜으면 나룻배를 버려야 하듯”은, “언덕에 오르면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뜻의 사벌등안(捨筏登岸)이라는 성어(成語)와 일맥상통한다. 불교에서 유래한 이 성어는, 열반의 언덕에 이르면 그제까지 방편으로 삼았던 정법(正法)이라는 뗏목도 버려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비슷하게 장자(莊子)는,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어야 한다.”는 득어망전(得魚忘筌)을 설파(說破)하였다. 이런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모종의 근본을 확립하면 지엽적인 것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사소한 일에 얽매여 큰일을 그르쳐서는 안 된다는 점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그런데 이 시는, ‘사벌등안’이나 ‘득어망전’이 현시(顯示)한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