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귀, 정현정

    귀   정현정   입의 문 닫을 수 있고   눈의 문 닫을 수 있지만   귀는 문 없이 산다   귀와 귀 사이 생각이란 체 하나 걸어놓고 들어오는 말들 걸러내면서 산다.   【태헌의 한역】 耳(이)   口門可閉眼門亦(구문가폐안문역) 兩耳無門過一生(양이무문과일생) 縱掛思篩兩耳間(종괘사사양이간) 隨時入語濾而生(수시입어려이생)   【주석】 * 耳(이) : 귀. 口門(구문) : 입의 문. / 可閉(가폐) : 닫을 수 있다. / 眼門(안문) : 눈의 문. / 亦(역) : 또한, 역시. 여기서는 ‘또한 그렇다’는 의미로 쓰였다. 兩耳(양이) : 두 귀. / 無門(무문) : 문이 없다. / 過一生(과일생) : 일생을 보내다, 평생을 살다. 縱掛(종괘) : 세로로 걸다. / 思篩(사사) : ‘생각이라는 체’의 뜻으로 역자가 만든 말이다. / 兩耳間(양이간) : 두 귀 사이. 隨時(수시) : 때에 따라, 수시로. / 入語(입어) : 들어오는 말. / 濾而生(여이생) : 걸러내며 살다.   【직역】 귀   입의 문 닫을 수 있고 눈의 문도 그렇지만 두 귀는 문 없이 평생을 산다 두 귀 사이에 생각이란 체 세로로 걸어 놓고 수시로 들어오는 말들 거르면서 산다   【漢譯 노트】 사람의 얼굴을 구성하는 4대 요소를 한글로는 “눈코입귀”나 “눈코귀입” 등의 순서로 얘기하고, 한자로는 “이목구비(耳目口鼻)”의 순서로 칭한다. 이 순서를 가지고도 문화적 차이를 얘기할 수 있겠지만, 따지고 보면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이 가운데 눈과 입은 본인의 의지에 따라 열 수도 있고 닫을 수도 있다. 그러나 코와 귀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그리고 귀와 귀 사이에는 생각을 하는 ‘머리’라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