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부채, 연체율이 중요하다 [심형석의 부동산정석]
가계 대출 관리, 대출 규모에만 집착
"가계부채 위험도, 연체율도 살펴야"

대출규제를 통해 가계대출을 억제하는 것은 당연한 듯이 보입니다. 하지만 너무 한편만 바라보고 진행하는 대출규제는 선의의 피해자를 양산할 수도 있습니다. 대출을 규제할 때 고려해야 하는 변수 중 우리는 너무 '대출규모'에 집착하고 있습니다.
작년 말 기준으로 가계대출 규모는 이미 1900조에 육박하고 있습니다만, 대출규제를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를 살펴야합니다. 정부의 가계부치관리방안의 핵심은 대출자의 전체 부채와 소득을 파악해 상환능력에 따라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 즉 총부채상환비율(DSR)을 전체 대출에 적용하겠다는 겁니다. DSR기준은 40%이니 매년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 총액이 연 소득의 40%를 넘지 않는 선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계부채 규모가 크고 심각하니 대출규제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가계부채 위험도는 대출규모와 함께 연체율을 살펴야 합니다. 특히 시중은행의 DSR이 40%로 관리되고 있지만 제2금융권의 경우 50%로 비중이 높아집니다. 대출의 풍선효과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사실 문재인정부에서는 강력한 대출규제를 단행하면서 우수대부업체를 발표해 국민들을 아연실색케 만들었습니다. 대출이 어려우니 대부업체를 알아보라는 의미인지 황당한 발표가 아닐수 없었습니다.
![가계 부채, 연체율이 중요하다 [심형석의 부동산정석]](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Q.29588851.1.jpg)
하지만 미국과 우리나라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을 살펴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2022년 2월 현재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3.34%입니다. 연체율이란 상환이 미뤄지고 있는 금액을 대출총액으로 나눠 계산합니다. 따라서 분모에 해당하는 대출총액이 증가하면 전반적인 연체율이 낮아지는 경향은 있지만 올해 1월 기준 우리나라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1%입니다. IMF 금융위기 당시 우리나라의 연체율이 10%였으니 0.1%의 연체율은 관리가 가능한 수준을 넘어 아주 인상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가계신용대출 또한 0.33% 수준으로 큰 문제가 없는 듯 보입니다.
팬데믹의 영향으로 시작된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이 대출 연체율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만기 대출연장과 이자상환유예조치 등이 상반기 중에는 끝날 예정입니다. 때문에 아무리 정책효과를 고려한다고 해도 현재의 대출 건전성은 아주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서도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의 단계적 정상화를 3월30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계속된 물가상승과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6%대를 기록 중입니다.

다행히 대통력직인수위원회에서도 대출규제를 원점부터 살핀다고 하니 대내외의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살피면서 경제의 피가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의 대출 정책이 잘 결정되었으면 합니다. 다만 각종 정책이 톱니바퀴처럼 물려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단편적인 정책 개선보다는 통합된 정책 수정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