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문재인 대통령이 4주년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부분만큼은 정부가 할 말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처음으로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자인한 내용이라는 해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투기 금지, 실수요자 보호, 공공의 주택공급 확대라는 정책 기조는 달라질 수 없다는 언급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여전히 투기로 인해 집값이 올랐다는 생각을 가지는 한 집값을 잡는 것은 요원해 보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 총 79만8000건을 조사했는데 거래신고가 해제된 것은 약 3만9000건이었습니다. 이중 사실상 취소인 ‘순수해제’ 건은 2만2000건이었고, 이중 신고가 거래는 16.9%인 3700 건이었다고 합니다. 이 사례를 대상으로 기획조사에 착수했는데 조사의 근거는 일부 투기 세력이 조직적으로 아파트 실거래가를 높인 뒤 계약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호가를 조작한다는 문제 제기가 이어진 데 따른 조치라고 합니다.

차분히 이 통계를 살펴보면 79만8000 건에 달하는 아파트 매매거래 중 3700건만이 취소된 신고가 거래라는 의미입니다. 전체 거래건수를 기준으로 비중을 계산하면 단 0.046%입니다. 1만 건이 거래되면 의심되는 거래는 1건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물론 이 1건도 정황일 따름이고 시세를 조작한다고 밝혀진 것이 아닙니다. 이 정도 건수가 거래를 조작할 수 있을까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듭니다.
부동산 문제 사과했지만…계속되는 집값 희생양 찾기[심형석의 부동산정석]
직방의 통계에 의하면 2021년 5월 10일 현재 최근 3개월간 실거래가 최고가경신 비율은 전국이 44.91%, 서울은 무려 70.43%에 이릅니다. 10건이 거래되면 전국은 4건이, 서울은 7건이 신고가라는 말입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취소된 거래 중 신고가 비율은 45%보다는 많아야 합니다. 정부가 흥분해서 발표한 비율 16.9%는 누가 봐도 낯뜨거운 수치일 따름입니다.

이 조사가 어느 정도 일단락되면서 투기의혹 수사협력 관련회의가 지난 4월19일 열렸습니다. 여기서 그동안의 수사 상황에 대한 브리핑이 있었는데 경찰 측 1560명, 검찰 측 641명이 한 달 간 조사했으나 투기로는 5건 만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엄청난 인력이 투입된 조사치고는 용두사미(龍頭蛇尾)가 아닌가 싶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밸류맵이라는 부동산정보회사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거래 해제 신고가 의무화된 작년 2월부터 금년 4월까지 15개월간 총 241만 건에 이르는 전체 부동산 거래 중 아파트의 거래 해제 건수는 2.1%에 그쳤다고 합니다. 상업용 부동산은 7.6%의 거래 해제가 이루어졌습니다.

상가 등 상업용부동산은 거래가 자주 발생하지 않아 실제 거래가격을 알기 어렵습니다. 이런 상품은 호가를 조작하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실제 효과도 있겠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거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실거래가가 비교적 정확하게 신고되는 아파트의 경우에는 호가를 올려 거래 후 취소한다고 해서 크게 실익은 없어 보입니다. 바보가 아니라면 갑자기 오른 거래를 따라서 추격매수를 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 아파트 거래에 있어서도 개업공인중개사들은 대부분 신고가는 빨리 신고하지 않습니다. 신고가가 빨리 신고돼 실거래가에 등재되면 집주인들은 그 이상의 가격으로 매물을 내놓거나 기존 매물의 가격도 그 수준에 맞추려고 합니다. 매수자 또한 오른 가격이 부담이 되니 계약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실거래가 신고기한인 한 달을 꽉 채워서 등록하거나 심지어 과태료를 물더라도 한 달을 넘기기도 합니다. 신고가를 기록한 계약은 중개보수를 소폭 올려줄 뿐이지만 신고가로 인해 앞으로의 계약 자체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특정 SNS에서는 이를 집값 폭등을 임기 말까지 밀어붙인다는 의미로까지 해석합니다. 사과는 했지만 현 정부는 집값 폭등의 주범은 아니라는 발뺌이겠죠. 집값 조작 조사, 투기 세력이라는 뜬구름 잡기, 끊임없는 세금 인상 이 모든 것이 정권 말기 아파트 가격 상승의 희생양을 찾으려는 부단한 노력으로 해석되는 건 기우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