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이 겨울엔, 홍해리

    이 겨울엔 홍해리 이 겨울엔 무작정 집을 나서자흰 눈이 천지 가득 내려 쌓이고수정 맑은 물소리도 들려오는데먼 저녁 등불이 가슴마다 켜지면맞아주지 않을 이 어디 있으랴이 겨울엔 무작정 길 위에 서자. [태헌의 한역]此冬(차동) 此冬不問出宇庭(차동불문출우정)白雪飛下滿地積(백설비하만지적)淸如水晶水聲聽(청여수정수성청) 遠處夕燈心心亮(원처석등심심량)世上何人不迎君(세상하인불영군)此冬不問立途上(차동불문립도상) [주석]* 此冬(차동) : 이 겨울, 이 겨울에.不問(불문) : 묻지 말고, 무작정. / 出宇庭(출우정) : 집을 나서다. ‘宇庭’은 집과 뜰이라는 뜻인데 ‘집’으로 보아도 무방하다.白雪(백설) : 흰 눈. / 飛下(비하) : 날아 내리다. / 滿地積(만지적) : 땅에 가득 쌓이다.淸如水晶(청여수정) : 맑기가 수정과 같다. 원시의 “수정 맑은”을 역자는 ‘수정처럼 맑은’으로 이해하였다. / 水聲聽(수성청) : 물소리가 들리다, 물소리 들려오다.遠處(원처) : 먼 곳, 먼 곳에서. / 夕燈(석등) : 저녁 등불. / 心心亮(심심량) : 마음마다 밝아지다, 가슴마다 켜지다. ‘亮’은 보통 밝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등불 따위가 켜진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世上(세상) : 세상. / 何人不迎君(하인불영군) : 어떤 사람이 그대를 맞이하지 않을까? ※ 이 구절은 원시의 “맞아주지 않을 이 어디 있으랴”를 살짝 의역하여 재구성한 것이다.立(입) : 서다, ~에 서다. / 途上(도상) : 길 위. [한역의 직역]이 겨울엔 이 겨울엔 무작정 집을 나서자흰 눈 날아 내려 땅에 가득 쌓이고맑기가 수정 같은 물소리 들려오리니 먼 데서 저녁 등불이 가슴마다 켜지면세상

  • 가을 들녘에 서서, 홍해리

    가을 들녘에 서서   홍해리   눈멀면 아름답지 않은 것 없고 귀먹으면 황홀치 않은 소리 있으랴 마음 버리면 모든 것이 가득하니 다 주어버리고 텅 빈 들녘에 서면 눈물겨운 마음자리도 스스로 빛이 나네.   [태헌의 한역] 立於秋野(입어추야)   眼盲無物不佳麗(안맹무물불가려) 耳聾無聲不恍恍(이롱무성불황황) 棄心一切皆盈滿(기심일체개영만) 盡授於人立虛壙(진수어인립허광) 欲淚心地亦(욕루심지역) 自然增輝光(자연증휘광)   [주석] * 立(입) : 서다. / 於(어) : ~에. 처소를 나타내는 개사(介詞). / 秋野(추야) : 가을 들녘. 眼盲(안맹) : 눈이 멀다. / 無物不佳麗(무물불가려) : 아름답지 않은 물건[것]이 없다. ‘佳麗’는 아름답다는 뜻이다. 耳聾(이롱) : 귀가 먹다. / 無聲不恍恍(무성불황황) : 황홀하지 않은 소리가 없다. ‘恍恍’은 황홀하다는 뜻이다. 棄心(기심) : 마음을 버리다. / 一切(일체) : 모든 것, 온갖 것. / 皆(개) : 모두, 다. / 盈滿(영만) : 가득 차다, 가득하다. 盡授(진수) : 모두 주다, 다 주다. / 於人(어인) : 남에게, 다른 사람에게. / 虛壙(허광) : 빈 들. 欲淚(욕루) : 눈물이 떨어지려고 하다, 눈물겹다. / 心地(심지) : 마음, 마음의 본바탕. 여기서는 마음자리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 亦(역) : 또한, 역시. 自然(자연) : 여기서는 ‘저절로’, ‘스스로’의 뜻으로 사용하였다. / 增(증) : ~을 더하다. / 輝光(휘광) : 빛, 찬란한 빛.   [한역의 직역] 가을 들녘에 서서   눈멀면 아름답지 않은 것 없고 귀먹으면 황홀치 않은 소리 없네 마음 버리면 모든 것이 가득하니 남에게 다 주고 빈 들녘에 서면 눈물겨운 마음자리도 스스로 빛을 더하네   [한

  • 당신에게 말 걸기, 나호열

    당신에게 말 걸기   나호열   이 세상에 못난 꽃은 없다 화난 꽃도 없다 향기는 향기대로 모양새는 모양새대로 다, 이쁜 꽃 허리 굽히고 무릎도 꿇고 흙속에 마음을 묻은 다, 이쁜 꽃 그걸 모르는 것 같아서 네게로 다가간다 당신은 참, 예쁜 꽃   [태헌의 한역] 攀話於君(반화어군)   此世無醜英(차세무추영) 亦無帶怒花(역무대노화) 有香因香麗(유향인향려) 有形緣形嘉(유형연형가) 弓腰又屈膝(궁요우굴슬) 埋心土肉裏(매심토육리) 天下許多榮(천하허다영) 悉皆休且美(실개휴차미) 君或不識此(군혹불식차) 吾人薄君傍(오인박군방) 吾君於吾何(오군어오하) 丁寧爲姸芳(정녕위연방)   [주석] * 攀話(반화) : 말을 걸다. / 於君(어군) : 그대에게, 당신에게. 此世(차세) : 이 세상. / 無醜英(무추영) : 추한 꽃이 없다, 못난 꽃이 없다. 亦無(역무) : 또한 ~이 없다. / 帶怒花(대노화) : 노기를 띤 꽃, 화난 꽃. 有香(유향) : 향기가 있다. / 因香麗(인향려) : 향기로 인하여 예쁘다. 有形(유형) : 모양이 있다, 모양새가 있다. / 緣形嘉(연형가) : 모양(새)로 인하여 예쁘다. 弓腰(궁요) : 허리를 굽히다. / 又(우) : 또, 또한. / 屈膝(굴슬) : 무릎을 꿇다. 埋心(매심) : 마음을 묻다. / 土肉裏(토육리) : 흙 속, 흙 속에. ‘土肉’은 흙을 가리키는 말이다. 天下(천하) : 천하, 온 세상. / 許多(허다) : 허다하다, 많다. / 榮(영) : 꽃. 悉皆(실개) : 모두, 다. / 休且美(휴차미) : 아름답다, 예쁘다. 여기서 ‘休’와 ‘美’는 모두 아름답다는 뜻이다. 君(군) : 그대, 당신. / 或(혹) : 혹시, 어쩌면. / 不識此(불식차) : 이를 알지 못하다. 吾人(오인) : 나. / 薄(박) : ~에 다가가다. / 君傍(군방) : 그대 곁. 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