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구글과 아마존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것?

    빠른 속도로 기술이 진화하고, 산업간 경계가 무너지는 뷰카(VUCA)의 시대에 창의력보다 그 원천이 되는 ‘호기심’이 비즈니스 역량과 성공에 중요한 기업의 자산이 되고 있다.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심리학 토드 카쉬단(Todd Kashdan) 교수가 20년 이상 호기심과 조직생활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호기심이 높은 상위 38퍼센트의 사람들은 근무하는 기업의 업력이 높고(26년 이상), 글로벌 조직에 근무하며, 더 풍부한 관리 경험(10년 이상)과 더 많은 부하 직원을 적극적으로 관리(11명 이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기심이 적은 하위 18퍼센트의 사람들은 주로 제조업이나 로컬 기업에 근무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관리 경험(10년 이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자발적인 대량 퇴직과 고용 열풍 속에서 전 세계 기업들이 호기심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은 리더가 갖고 있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성장과 호기심’을 강조했고, 애플의 CEO인 팀 쿡 역시 애플의 인재상이 ‘Wicked Smart’라고 언급하면서 직원들에게 호기심 역량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의 호기심을 높일 수 있을까?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질문을 통해 더 깊이, 그리고 더 넓게 탐구한다. 이들은 네이버나 구글 검색어에 바로 뜨는 답에 대해 머물지 않고 숙고해서 답을 찾으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인터넷이 인간이 기억력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줄여 줌으로써 사고 능력을 더 창조적인 곳에 쓰도록 해 준다고 주장하지만 이런 주장은 인간의 정신 작용에 대해 과학계가 밝혀낸 모든

  • 아무도 틀린 사람은 없다

    한경닷컴 더 라이피스트 “이게 틀린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어지간해서 질문을 하지 않던 사람이 어렵사리 용기를 내어 필자에게 이렇게 말을 꺼내는 때가 종종 있다. 평범한 직장인뿐만 아니라 명함만 보면 내놓으라 하는 전문직에 있는 사람들조차 이런 운을 떼며 질문을 해오곤 한다. 원인은 간단하다. 지금까지 자신이 익숙해온 방식과 다르면 대수롭지 않게 '틀리다'고 표현하는 것에 익숙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

  • 당신에게 최고의 질문은 무엇인가?

       얼마 전 모기업 K임원이 “업무추진 과정에서 지시하지 않고 질문하려면 어떤 질문이 좋은 질문입니까?”라고 물었다. 필자는 “지금까지 상사에게 받은 질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질문이 무엇인지요?” 되물었다.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어떤 일을 하려 할 때마다 이것을 왜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사실 어떤 때는 답변을 못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그다음 질문은 그럼 어떻게 할 것 인데?라는 것이었습니다.”   조직생활 관련 ...

  • 왜 질문하지 않는가?

    왜 질문하지 않는가?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no1gsc@naver.com) 기업의 팀장, 임원을 대상으로 ‘리더의 역할과 상황별 의사결정’, ‘성과관리’, ‘일과 사람관리’ 등의 주제로 강의하면서 3시간 동안 약 50여 개의 질문을 합니다. 직장에서 15년~20년 넘게 생활한 분들에게 주입식으로 일방적 내용 전달은 교육의 질을 떨어트린다는 생각으로 과감하게 질의응답식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시작과 함께 질문을 던집니다. 1) 왜 이 강의에 참석했습니까? 당연 답이 없습니다. 2) 이 강의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3) 직장인이 반드시 갖고 있어야 할 생각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대답은 없어도 머릿속에는 하나 이상의 답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누군가를 지명하면 대답을 하지만, 전체에게 물으면 대답하지 않습니다. 3~4개 정도 전체 질문을 해도 대답이 없으면 가장 무능한 강사가 됩니다. 강사 자신이 질문하고 답을 하는 경우이지요. 하지만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보고, 마음속 생각이 옳다 판단하면 용기를 내어 말해 달라고 요청하고 계속 질문을 이어갑니다. 3시간 정도 강의하다 보면, 질문이 50번이 넘고 중간 이후 한 두 명이 대답을 하기 시작합니다. 다른 생각도 있고 다들 공감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 분위기는 참석만 있고 참여가 적습니다. 왜 우리는 질문을 하지 않고, 회의와 강의 등에 참석만 할 뿐 참여는 적을까요? 몰라서 안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안 하는 것에 익숙해진 것이 아닐까요? 가정과 학교교육, 남자의 경우 군대, 직장에서 눈치 보는 문화, 나섰다가 책임까지 지게 되거나, 남의 일에 간섭하지 않는 등등이 마음

  • 좋은 질문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어떻게 질문을 하면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얼마 전 코칭대화에서 모 임원이 한 말이다. 그는 지시 명령에 익숙해 질문의 중요성은 알지만 실천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 임원에게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다. 필자도 임원 시절 질문보다 명령을 더 많이 했으니까. 그러나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옛말이 지금이라도 실천할 수 있는 용기를 준다.   <질문지능>의 작가 아이작 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