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2019 새해에는 다이어트, 굿바이 핑계

    2019년 새해 첫날 다짐했던 계획들과 핑계 옛말에 도둑질을 하다 걸려도 변명거리가 있다고 했다. 아무리 큰 잘못을 저질러도, 빠져나갈 이유가 있다는 뜻에서 생긴 말이다. 이처럼 예나 지금이나 우리 주변에 핑곗거리는 홍수처럼 넘쳐난다. 새해가 오면 늘 계획했던 다이어트만 해도 그렇다. 오늘은 비가 오니까 운동하지 말아야지, 오늘은 컨디션이 별로니까 운동하지 말아야지, 오늘만 먹모 하자 하는 것들도 모두 알고 보면 다 같은 맥락, 즉 핑계다. 우리는 왜 이렇게 허구한 날 핑계를 대고 있을까? 핑계는 사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심리적 장치란 연구결과가 있다.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한 것, 핑계 심리학 용어로 셀프핸디캐핑이라고 하는데, 이는 불리한 결과가 나올 걸 대비해 미리 자신의 핸디캡을 정해놓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버글래스 존스가 했던 실험을 살펴보자. 버글래스 존스는 실험 참가자들을 A와 B 두 그룹으로 나눈 뒤, 각각 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풀게 했다. 시험이 끝나고 두 그룹 모두에게 실제 결과는 숨긴 채 ‘모두 좋은 결과가 나왔다’라고 전했다. 그리고 실험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러분은 이제 다음 단계의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그전에 두 가지 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약은 집중력과 두뇌회전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효능이 있고, 두 번째 약은 반대로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머리를 멍한 상태로 만들어 문제 푸는데 어려움이 생길 겁니다. ” 나라면 어떤 약을 선택할까? 상식적으로 당연히 문제를 더 잘 풀기 위해 모두가 첫 번째 약을 복용했을 것 같지만 웬걸, 결과는 달랐다. 쉬운 문제를 푼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