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기러기 가족, 이상국

    [원시]기러기 가족  이상국  - 아버지, 송지호에서 좀 쉬었다 가요. - 시베리아는 멀다. - 아버지, 우리는 왜 이렇게 날아야 해요? - 그런 소리 말아라.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 것이 많단다. [태헌의 한역]鴻雁家族(홍안가족) 阿爹暫息松池湖(아다잠식송지호)西比利亞誠遠途(서비리아성원도)阿爹吾等爲何事(아다오등위하사)若此飛飛不休舍(약차비비불휴사)兒子且莫說如彼(아자차막설여피)下界亦多無翼者(하계역다무익자) [주석]* 鴻雁(홍안) : 큰 기러기와 작은 기러기, 기러기. / 家族(가족) : 가족.* 阿爹(아다) : 아버지. / 暫息(잠식) : (~에서) 잠시 쉬다. / 松池湖(송지호) :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에 있는 호수 이름.* 西比利亞(서비리아) : 시베리아(Siberia). 오늘날에는 중국 사람들이 시베리아를 주로 ‘西伯利亞(서백리아)’로 표기하지만, 구한말(舊韓末) 무렵에 ‘西比利亞’로 적었기 때문에 이를 따랐다. / 誠(성) : 정말로, 진실로. 한역(漢譯)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遠途(원도) : 먼 길, 길이 멀다.* 吾等(오등) : 우리, 우리들. / 爲何事(위하사) : 무슨 일 때문에, 무엇 때문에, 왜.* 若此(약차) : 이와 같이, 이렇게. / 飛飛不休舍(비비불휴사) : (계속해서) 날기를 쉬지 않다. ‘休舍’는 하던 일을 멈추고 잠시 쉰다는 뜻이다.* 兒子(아자) : 아이, 아들, 얘야!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且莫(차막) : 부디 ~을 하지 말아라, 당분간 ~을 하지 말아라. / 說如彼(설여피) : 그와 같이 말하다, 그렇게 말하다.* 下界(하계) : 아래 세계(世界). 원시의 ‘저 밑’에 대한

  • 단풍, 이상국

    단풍 이상국 나무는 할 말이 많은 것이다그래서 잎잎이 마음을 담아내는 것이다 봄에 겨우 만났는데가을에 헤어져야 하다니슬픔으로 몸이 뜨거운 것이다 그래서 물감 같은 눈물을 뚝뚝 흘리며계곡에 몸을 던지는 것이다. [태헌의 한역]丹楓(단풍) 樹木多有所欲言(수목다유소욕언)是故葉葉藏心魂(시고엽엽장심혼)春日?逢秋日別(춘일재봉추일별)傷悲滿滿身自熱(상비만만신자열)恰如顔料淚滴瀝(흡여안료루적력)今向溪谷身自擲(금향계곡신자척) [주석]* 丹楓(단풍) : 단풍.樹木(수목) : 수목, 나무. / 多有(다유) : ~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 많이 있다. / 所欲言(소욕언) : 하고 싶은 말.是故(시고) : 이 때문에, 그래서. / 葉葉(엽엽) : 잎마다, 모든 잎. / 藏(장) : ~을 감추다, ~을 간직하다. / 心魂(심혼) : 마음.春日(춘일) : 봄날, 봄. / ?逢(재봉) : 겨우 만나다, 간신히 만나다. / 秋日(추일) : 가을날, 가을. / 別(별) : 헤어지다.傷悲(상비) : 슬픔. / 滿滿(만만) : 가득하다. / 身(신) : 몸. / 自(자) : 저절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熱(열) : 뜨겁다.恰如(흡여) : 마치 ~와 같다. / 顔料(안료) : 물감. / 淚(누) : 눈물. / 滴瀝(적력) : (물방울 등이) 뚝뚝 떨어지다. 또는 그 소리.今(금) : 지금, 이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向溪谷(향계곡) : 계곡을 향하여, 계곡으로, 계곡에. / 自(자) : 스스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擲(척) : ~을 던지다. 이 구절에서 ‘擲’의 목적어는 ‘身’이다. [한역의 직역]단풍 나무는 하고 싶은 말이 많았다그래서 나뭇잎

  • 국수가 먹고 싶다, 이상국

    국수가 먹고 싶다   이상국   사는 일은 밥처럼 물리지 않는 것이라지만 때로는 허름한 식당에서 어머니 같은 여자가 끓여주는 국수가 먹고 싶다   삶의 모서리에서 마음을 다치고 길거리에 나서면 고향 장거리 길로 소 팔고 돌아오듯 뒷모습이 허전한 사람들과 국수가 먹고 싶다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느 곳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 마음의 문들은 닫히고 어둠이 허기 같은 저녁 눈물자국 때문에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사람들과 따뜻한 국수가 먹고 싶다   【태헌의 한역(漢譯)】 欲食素麪(욕식소면)   常曰人生世間事(상왈인생세간사) 誠如米飯毫無倦(성여미반호무권) 時時破舊飯館裏(시시파구반관리) 欲食老媼煮素麪(욕식로온자소면)   心傷人生轉角處(심상인생전각처) 步向街道獨輾轉(보향가도독전전) 賣牛歸人背影若(매우귀인배영약) 我欲與彼食素麪(아욕여피식소면)   世上固似大宴家(세상고사대연가) 何處不有欲泣人(하처불유욕읍인) 心門由是一二閉(심문유시일이폐) 黑暗如飢到夕曛(흑암여기도석훈) 淚痕不乾心自露(누흔불건심자로) 我欲與彼食溫麪(아욕여피식온면)   [주석] * 欲食(욕식) : 먹으려고 하다, 먹고 싶다. / 素麪(소면) : 국수. 常曰(상왈) : 흔히 ~라고 말하다. / 人生世間事(인생세간사) : 사람이 세상에서 사는 일. 誠如(성여) : 정말 ~과 같다. / 米飯(미반) : 쌀밥. / 毫無倦(호무권) : 조금도 물리는 것이 없다. 時時(시시) : 때때로. / 破舊(파구) : 해어지고 낡다. / 飯館裏(반관리) : 식당 안. 老媼(노온) : 늙은 아주머니. / 煮素麪(자소면) : 국수를 끓이다, 끓인 국수. 心傷(심상) : 마음을 다치다,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