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젓가락 장단맞추는 선술집의 사업성 검토

    (110-65) 남북교역 : 젓가락 장단문화의 산실, 선술집   이어령 전 초대 문화부 장관이 ‘아시아를 읽는 생명공감, 젓가락의 문화유전자’를 출간했다. 이 책에서 그는 한·중·일 3국의 공통된 문화원형인 젓가락의 특징과 미래가치를 단일 콘텐츠를 테마로 한 단행본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젓가락의 유래와 변천사, 젓가락을 통해 본 한중일 3국의 문화 비교, 숟가락 젓가락을 사용하는 한국인의 고유한 ‘수저’론, 젓가락이 품고 있는 가락 문화, 젓가락과 IT산업 등을 담고 있다. 실리콘밸리에 가면 아시아계 사람들이 많고, 반도체를 만드는 나라는 모두가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인데 어렸을 때부터 젓가락질을 해 손재주와 높은 IQ의 연관성을 웅변한다. 젓가락은 오랜 시간 교육과 연습이 필요해 젓가락질을 잘할수록 두뇌발달 및 창조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세계에서 머리가 가장 좋은 것이며, IT 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이고, 젓가락장단 문화와 공동체적 삶이 발달되었다고 설명한다. (중앙일보, 2016.11.20.)   나도 이어령 장관처럼 젓가락 장단이 좋다. 특히 술상을 두드리며 흥겹게 장단 맞추어 뽕짝부르기를 좋아했었다. 나는 뽕짝이 좋다. 그중에서도 ‘나그네 설움’과 ‘불나비’를 좋아한다. 대학다닐 때도 워크맨에 뽕짝 테이프를 넣고 들으며 다녔다. 입사해서는 부장님, 과장님과 선배 모시고 회식에 가서 술 한잔하지 않고 젓가락 두드리며 노래 불러서 ‘웃기는 놈’이라는 말도 들었다. 요즘 남한에는 그렇게 노래 부르며 음주를 즐길만한 장소가 없다. 이제 나이 50살 넘어 겨우 술 좀 배웠다. 그러고 보니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