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유안진 선생의 <들꽃 언덕에서> 시를 읽은 후에 - 향기의 크기, 강성위

    讀柳岸津先生之野花岸上詩後(독유안진선생지야화안상시후)- 香之大小(향지대소) 姜聲尉(강성위) 人養花草香氣小(인양화초향기소)花草與人去不遠(화초여인거불원)天養野花香氣大(천양야화향기대)野花與天去相遠(야화여천거상원) [주석]* 讀(독) : ~을 읽다, ~을 읽고서. / 柳岸津先生(유안진선생) : 유안진 선생. / 之(지) : ~의. 관형격 구조조사. / 野花岸上詩(야화안상시) : <들꽃 언덕에서>라는 시. / 後(후) : ~한 뒤에, ~한 후에. / 香之大小(향지대소) : 향기의 대소(大小), 향기의 크기.人養花草(인양화초) : 사람이 화초를 기르다, 사람이 기른 화초. / 香氣(향기) : 향기. / 小(소) : ~이 작다.花草與人(화초여인) : 화초와 사람. ‘與’는 ‘and’에 해당하는 접속사이다. / 去不遠(거불원) : (떨어진) 거리가 멀지 않다. ‘去不遠’ 앞에 ‘相’이 생략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天養野花(천양야화) : 하늘이 들꽃을 기르다, 하늘이 기른 들꽃. / 大(대) : ~이 크다.野花與天(야화여천) : 들꽃과 사람. / 去相遠(거상원) : (떨어진) 거리가 서로 멀다. [번역]유안진 선생의 <들꽃 언덕에서> 시를 읽은 후에- 향기의 크기 사람이 기른 화초는 향기가 작다화초와 사람 거리가 멀지 않으니하늘이 기른 들꽃은 향기가 크다들꽃과 하늘 거리가 서로 머니까 [시작 노트]필자의 졸시는 한시로 작성한 일종의 독후감이다. 유안진 선생의 <들꽃 언덕에서>를 몇몇 지인들과 SNS 동호회에 소개한 후에 새삼스레 감상하다가 불현듯 시상이 일어 엮어보게 된 것이었다. <들꽃 언덕에서> 시가 퍼뜩 떠오르지 않는 독자들을 위하여 우선 작품을 여기에 소개하도록 한다.들꽃 언덕에서&

  • 은발이 흑발에게, 유안진

    은발이 흑발에게   유안진   어제는 나 그대와 같았으나 내일은 그대가 나와 같으리라.   [태헌의 한역] 銀髮向於黑髮(은발향어흑발)   昨日余如汝(작일여여여) 明日汝如余(명일여여여)   [주석] * 銀髮(은발) : 은발, 백발(白髮), 흰머리. / 向於(향어) : ~에게. / 黑髮(흑발) : 흑발, 검은 머리. 昨日(작일) : 어제. / 余如汝(여여여) : 나는 그대와 같다. 明日(명일) : 내일. / 汝如余(여여여) : 그대는 나와 같다.   [직역] 은발이 흑발에게 어제는 내가 그대와 같았으나 내일은 그대가 나와 같으리라.   [한역 노트] 이 시는 역자가 여태 한역한 시 가운데 가장 짧은 작품이다. 정확하게는 한역시 본문에 사용된 한자(漢字) 수가 가장 적은 시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오언고시(五言古詩) 2구로 재구성한 한역시에서 중복 사용된 글자를 제외하면 단 6자로 이루어진 시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에는 시인이 우리에게 들려주려고 하는 인간 세상의 철리(哲理) 하나가 오롯이 구현(具現)되어 있다. 그러니 어찌 시가 꼭 길어야만 하겠는가? 시인은 백발에 대한 생각이나 감회를 직접 언급하는 대신에, 색깔이 다른 머리카락끼리의 대화라는-기실은 일방적인 ‘들려줌’이지만- 색다른 설정을 통하여 백발의 비애를, 정확하게는 그런 백발을 머리에 이고 사는 이들의 비애를 에둘러 노래하였다. ‘양자강(揚子江) 뒷 물결이 앞 물결을 밀어낸다’[長江後浪推前浪]는 말과 비슷하게, 어떤 흑발이든 결국 세월의 물결에 밀려 백발이 될 수밖에 없다는 불가역(不可逆)의 섭리를 담담하게 얘기한 것이다. 나이는 누구나 한 해에 한 살씩 더하는 것이지만, 백발이 성하는 속도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