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 나라의 국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중 하나인 금융경쟁력은 선진국으로 평가 받는데 필수적인 구성 요소다. 그런 의미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기 시작한 우리나라 금융경쟁력은 어떨까? 2018년 세계경제포럼(WEF)은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때 아프리카 빈곤국인 우간다보다 뒤처졌던 한국의 금융경쟁력이 55계단 뛰어오른 19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한국의 국가 경쟁력 종합순위가 15위라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불만이었지만 몇 년전인 2015년 WEF가 발표했던 금융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이 87위, 우간다가 81위에 위치하여 여섯 계단 뒤졌다는 발표로 온 나라가 충격을 받았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다. 지난 2022년 3월 영국 컨설팅그룹 Z/Yen 사가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는 서울을 전 세계 128개국 주요 도시 중 11위의 경쟁력을 보유한 도시로 발표했지만 투자자 입장에서 피부로 느끼는 금융 경쟁력은 영 딴판이다.오히려 금융 전문가들에 의하면 우리나라 금융시장 경쟁력은 세계 금융 중심지 뉴욕이나 런던 그리고 도쿄, 싱가포르, 홍콩에 비하면 한참 뒤쳐져 있다는데 큰 이견이 없다. 암호화폐는 금융상품이며 금융상품은 그 나라 금융시장 수준과 규모에 비례하여 발전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암호화폐 산업의 현 주소는 상당히 부정적이다. 우선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장악력과 규제로 볼 때 거의 관치금융 성격으로 평가되고 있는 현실, 그리고 선진국 대비 형편없는 금융 범죄에 대한 낮은 형량으로 인한 금융 범죄의 소굴이라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은 현실, 다만 IT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 환경은 좋아졌지만 기본적인 금융 시

  • 정부가 잘못된 길로 가면 국민이 나서야한다

    서울대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김재윤씨는 며칠 전 국회 토론회에 참석하여 왜 젊은이들이 암호화폐 투자에 열광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우선 젊은이들은 무엇보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 전통자산에 투자할 자본이 부족하다. 무엇보다 유동성 폭증 결과 시중에는 2,000조원에 달하는 유동자금이 넘쳐나고 자산 인플레이션은 이미 현실화 되어 내 집 마련이나 결혼은 물려받은 유산이 없는 젊은이에겐 꿈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내몰린 대다수 젊은이들은 신분 상승을 위해 법에 저촉되지 않는 짓이라면 무슨 짓이라도 할 수밖에 없는 심경을 솔직하게 털어 놓는다.이런 상황에서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며 운 좋으면 10배 100배가 가능한 가상자산 투자는 누구나 손쉽게 접근 할 수 있으며 기성세대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아 디지털 자산 투자에 어려움을 느끼지만 오래전부터 게임 아이템 사고 파는데 익숙한 젊은이들은 암호화폐에 오히려 친근감까지 느낀다. 그들에게 탈중앙화, 탈국가화는 투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라고 한다.법적으로 하자가 없고 수익을 낼 수 있으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누구나 손쉽게 거래할 수 있는 투자 세계가 널려 있는데 이를 마다할 수가 있느냐고 반문하고 싶다고 한다.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이나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암호화폐(가상자산)에 대한 발언은 젊은이들의 입장에서는 고리타분한 꼰대의 헛소리로 들릴 뿐, 아예 감흥조차 없으며 이미 고착화된 경제계급사회에서 청년들은 돌파구를 찾지 말고 그냥 그대로 살라는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일축한다.더구나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젊은이들은 해당 암호화폐에

  • 워런 버핏의 탄식

    워런 버핏의 탄식은 반복될 것인가?버크셔 헤서웨이 2017년 주주서한에서 워런버핏은 이렇게 얘기했다.성장에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고자본(Capital intensive)기업보다 자산 이익률이 높은 고성장 저자본 기업에 투자하는 편이 더 낫다.과거 1,2차 산업혁명 시대는 이른바 고자본 기업 전성 시대였다. 제철소를 지어 거부가되고,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여 정유공장을 짓고, 수 많은 투자자본을 유치하여 철도를 깔아 사업을 하던 시대는 지났다.투자의 관점은 시대 따라 바뀌어 지금은 페이스북, 알파벳, 애플,아마존, 넷플릭스로 대변되는 저자본 고성장 기업에의 투자가 대세이며 이는 시대의 흐름이다.구글은 누군가 가이코(미국 자동차 전문 보험회사)를 한번 클릭할 때마다 11달러나 받고 있으며 아마존에서는 빅데이터와 AI로 무장된 엔진이 고객의 취향에 쏙 맞는 제품을 들이대며 오늘 안 사면 손해본다고 협박까지 한다. 이렇게 빠르게 진화한 디지털 기업들이 저자본 고소득 기업의 시대를 열어왔다.  버핏은 주주서한에서 이미 전통 자본주의 시대는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로 변해버렸고 앞으로 이런 세상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그리고 언론 인터뷰에 밝힌 바와같이 워런 버핏은 자신의 가장 큰 실수 중의 하나가 MS와 구글, 그리고 아마존에 투자하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잘 모르는 분야에는 투자하지 않는다는 보수적인 버핏의 투자 철학이 그대로 드러나는데 이러한 버크셔의 투자 철학도 서서히 바뀌어 이미 IBM과 애플에 많은 투자를 했으며 점차 펀드에서 디지털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가고 있다.  반면에 워런버핏은 비트코인에는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 이유를 추

  • 미완의 이더리움 그리고 루비니와 부테린의 설전

    2009년에 출간된 “미완의 작품들”은 프랑스 문학박사 이자벨 밀레(Isabelle Miller)가 쓴 책입니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미완성 작품은 작품 제작 과정에 대한 비밀을 완성된 작품보다 더 많이 드러낸다”라고 하면서 예술의 역사상 미완성으로 남은 작품은 수없이 많으며 능력이나 영감이 부족해 완성하지 못한 경우도 있지만, 지나친 의욕과 이상 탓에 마무리 짓지 못한 것들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거장들의 예술 작품 중에 ‘미완성’이란 이름이 붙은 작품들이 있는데 이 중에서 몇 개는 완성된 작품들보다 더 높게 평가받고 인기도 높은데 대표적인 것으로 미켈란젤로의 조각품 ‘노예상’ 그리고 슈베르트의 교향곡 8번 ‘미완성 교향곡’이 꼽힙니다. 미켈란젤로의 ‘노예상’은 이탈리아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 미술관에서 제일 유명한 작품은 미켈란젤로의 ‘다비드(David)’이며 다비드를 보기 위해 들어가는 입구 쪽에 도열해 있는 것이 ‘노예상’입니다. 그러나 유명한 왕이나 위인을 조각한 작품도 아니며 완성도 안 된 채 서 있는 노예상이지만 꿈틀대듯 드러난 몸체 일부는 돌덩어리를 박차고 금방이라도 뛰쳐나올 것만 같은 강렬한 인상을 주는 작품입니다. 형식상으론 미완성이지만 오히려 아직 조각되지 않고 숨어있는 대리석 덩어리 부분이 묘하게 보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드러난 몸매에서 느껴지는 강렬한 인상은  일반적인 미완성 조각품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줍니다. 바라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미 대리석 속에 완벽하고 치밀하게 조각된 완성품이 들어 있는데 일부러 완성품 위에 회반죽을 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