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비트코인 가격은 어디까지 오를까?

    역사적으로 경제학자가 큰 돈을 벌었다는 기록이 거의 없다. 가치 투자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케인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제학자는 투자로 큰 손실을 입었다는 이야기만 전해진다. 경제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닥터 둠”으로 유명한 루비니 뉴욕대학교 교수가 오는 1월 15일경 비트코인의 대폭락을 예언했다고 한다. 루비니 교수는 처음부터 비트코인의 존재 자체를 부정한 사람이다보니 그의 시각에서 볼 때,  최근 개당 4만달러가 넘게 폭등한 비트코인의 폭락은 당연해 보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예언은 빗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일시적인 조정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폭락이라는 용어에 어울리는 50% 이상의 가격 하락은 전혀 예상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올라 5만 달러가 넘는 시기가 멀지 않았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필자는 지난 2018년 S대 강의에서 1비트의 가격을 5만 달러로 예측했었다. 추정의 근거는 당시 전세계 금 자산의 규모가 8조달러 수준 이었는데 (지금은 10조 달러가 넘는다) 금은 대표적인 자산 보전의 수단으로 쓰이는 안전자산이다. 따라서 경제위기나 국가적 긴급사태가 발생하면 금값이 뛰곤 한다. 당시 나는 비트코인을 안전자산의 대체품으로 생각하고 전 세계 금 시장 규모 8조 달러의 10%수준을 비트코인으로 대체한다는 것을 전제로 1비트당 $50,000을 예상했었다. 비트코인은 총 발행 가능수량이 2,100만개로 한정된 암호화폐다. 그러나 초기 비트코인의 가치가 전혀 인정 받지 못하던 시기에 키 값 분실로 채굴했던 많은 수량이 사라져 채굴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유통 가능한 총 수량은 1,800만개 수준이 될 것을 전제로 한

  • 코로나 시대, 금(金)일까? 맞지만 방법이 틀렸다.

    올해 3월부터 시작한 ‘방역 경제’ (필자 명명)로 장사, 수출이 장기적으로 안 된다. 사람 이동이 국내는 물론이고 국제 간에도 매우 불편해진 것이 근본 원인이다. 당연히 주가와 집값이 떨어져야 하는데 벌어지는 현상은 반대이다. 정부가 생존을 위하여 통화 및 재정정책의 확대로 돈을 풀었기 때문이다. 풀린 돈이 한국에만 3천조 원이 넘었다. 돈은 흐르는 물처럼 수익이 생기는 곳으로 무조건 흘러가고 스며든다. 그러나 각 나라가 부채로 버티는 데는 한계가 있다. 만약 전문가들의 다수의견처럼 내년 상반기 이후까지 방역 경제가 지속이 된다면 다른 이유 댈 것 없이 집값, 주가는 내려갈 것이다. 안전자산 일부라고 하는 달러와 채권 역시 온전한 안전자산으로 보기 어렵다. 이제는 1~2년에 한 번씩 일어나는 지카·에볼라·코로나 등 바이러스 사태, 사실상 미사일만 날아다니지 않는 전면전 수준의 미·중 패권전쟁 등 내일 일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시대에 안전자산은 무엇일까. 부동산, 주식, 은행의 세 바구니 분산 포트폴리오에서 최고의 안전자산 금(金) 바구니를 하나 더 만들어 분산투자야 해야 한다. 그러나 네 바구니를 전부 한집에 두면 위험에서 벗어나 있지 못한다. 일명 쿼터 폴리오(Quarter folio) 전략으로 확실하게 분산 투자해야 한다. 그동안 안전자산 중 일부로 알려진 화폐인 달러와 해당국 화폐와 연동된 채권은 불안하다. 인플레이션 헤지 (hedge 위험에 대한 방어책)가 안되기 때문이다. 금 바구니 조차도 분산 투자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유일한 안전자산으로 부자들은 금(金)을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방향은 옳은듯하나 방법이 틀렸다. 최근

  • 또 다시 돼지가 날아 오를까?

    2008년 금융위기가 닥치자 미국이 꺼내든 무기는 기존 달러 발행 총액의 5배 규모의 달러를 시장에 쏟아 부어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었다. 이 무지막지한 돈 풀기의 영향으로 ‘리먼브라더스’ 파산 6개월 후 거의 50% 가까이 폭락하며 최저점을 기록했던 다우지수는 불과 4년만인 2013년 3월 금융위기 이전 최고점인 14,000p를 회복했다. 그뿐 아니라 1년 5개월 후인 2014년 8월, 지수 17,000p를 돌파하자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증시는 거품 논란에 휩싸이며 언제 버블이 터질 것인가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필자는 당시 현대경제연구원 H원장님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미국증시가 거품인가? 아닌가에 대한 얘기를 잠시 나눴는데, 전날 미국 주가가 2% 가까이 폭락했기에 나온 대화였다. 당시 전 세계는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금융위기가 채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에서, 홍콩사태를 비롯한 악재가 세계 곳곳에 나타나고 있었기에 국내 증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주가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을 수 밖에 없었다. 나는 미국 증시의 버블 여부와 붕괴 가능성에 대해 물었고, 나의 질문에 H원장은 아래와 같이 아주 재미있고 의미 있는 비유를 통해 당시 미국 증시의 상황을 표현 하였다 H원장님은 나와 만나기 직전 전 미국 최대 헤지펀드의 CEO와 나눈 대화에서 나와 똑 같은 질문을 던졌는데, 그는 다음과 같은 얘기로 현재 미국 투자자들의 (물론 전체 의견은 아니겠지만) 분위기를 표현했다고 한다. 그 미국 헤지펀드 CEO 자신은 오래 전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앨런 셰퍼드’를 만난 적이 있는데 그때 셰퍼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고 한다. “미국인 최초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