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흰구름, 박종해

    흰구름 박종해 “울지 마라너가 울면 내가 빨리 못간다.” 먼먼 길을 떠나시며어머니께서 하신 말씀이다. 어머니는 어디로 그렇게 서둘러 가신 것일까.동산머리에 흰구름이 피어 오른다.구름은 피어 하늘을 떠돌다가내가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어디로 갔는지 사라지고 없다. [태헌의 한역]白雲(백운) 莫泣汝若泣(막읍여약읍)吾不能速去(오불능속거)將登遠路前(장등원로전)母親向余語(모친향여어)母親悤悤去何處(모친총총거하처)小山頭上白雲浮(소산두상백운부)浮雲遊回天空中(부운유회천공중)余暫顧他跡忽無(여잠고타적홀무) [주석]* 白雲(백운) : 흰 구름.莫泣(막읍) : 울지 마라! / 汝若泣(여약읍) : 네가 만약 울면.吾(오) : 나. / 不能(불능) : ~을 할 수 없다. / 速去(속거) : 빨리 가다.將(장) : 장차. 아직 미발(未發)의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역자가 임의로 보탠 시어이다. / 登遠路(등원로) : 먼 길에 오르다, 세상을 떠나다. / 前(전) : ~하기 전에.母親(모친) : 어머니. / 向余(향여) : 나를 향해, 나에게. / 語(어) : 말하다.悤悤(총총) : 다급하게, 바쁘게, 서둘러. / 去何處(거하처) : 어디로 가는가?小山(소산) : 작은 산, 동산. / 頭上(두상) : 머리 위. / 浮(부) : 뜨다, 떠 있다. 원시의 “피어 오른다.”를 역자가 임의로 고쳐 한역한 표현이다.浮雲(부운) : 뜬 구름. / 遊回(유회) : 떠돌아다니다, 떠돌다. / 天空中(천공중) : 하늘 가운데, 하늘에.暫(잠) : 잠시. / 顧他(고타) : 다른 것을 돌아보다, 딴전을 피다, 한눈을 팔다. / 跡(적) : 자취, 종적.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 忽(홀) : 문득, 갑자기. 이 역시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

  • 겨울나무, 공광규

    겨울나무  공광규  저녁이 되어도팔을 거두지도 않고눕지도 않는 나무 별을 안아 보려고저렇게 서서겨울밤을 지키는 나무 눈 온 아침천 개의 팔에 반짝반짝별 부스러기를 안고 있는. [태헌의 한역]冬樹(동수) 晩來不收臂(만래불수비)亦不臥而暇(역불와이가)欲抱天中星(욕포천중성)直立守冬夜(직립수동야)雪朝曜不絶(설조요부절)千臂擁星屑(천비옹성설) [주석]* 冬樹(동수) : 겨울나무.晩來(만래) : 저녁이 되어, 저물녘에. / 不收臂(불수비) : 팔을 거두지 않다, 팔을 그대로 두다.亦(역) : 또한, 역시. / 不(불) : ~을 하지 않다. / 臥而暇(와이가) : 누워서 느긋하게 쉬다. ‘暇’는 동사로 느긋하게 지내거나 한가하게 논다는 의미인데,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欲(욕) : ~을 하고자 하다. / 抱(포) : ~을 안다. / 天中星(천중성) : 하늘 가운데의 별. ‘天中’은 한역의 편의를 위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直立(직립) : 곧게 서다. 원시의 “저렇게 서서”를 의역한 표현이다. / 守(수) : ~을 지키다. / 冬夜(동야) : 겨울밤.雪朝(설조) : 눈 내리는 아침, 눈 내린 아침. / 曜不絶(요부절) : 반짝임이 끊이지 않다, 끝없이 반짝이다.千臂(천비) : 천 개의 팔. / 擁(옹) : ~을 안다. / 星屑(성설) : 별 부스러기, 별 조각. [한역의 직역]겨울나무 저녁이 되어도 팔 거두지 않고또 누워 느긋이 쉬지도 않으며하늘 가운데의 별 안아 보려고곧게 서서 겨울 밤을 지키는데눈 온 아침에 끝없이 반짝임은천 개의 팔이 별 조각 안은 것 [한역 노트]역자가 칼럼을 집필한 이래로 지금까지 같은 제목의 시로 독자들

  • 겨울나무, 박종해

    겨울나무 박종해 슬픔을 딛고 가는 사람은 기쁨의 나라에 닿는다 고통을 딛고 가는 사람은 즐거움의 나라에 닿는다 나무는 눈보라치는 겨울을 밟고 무성한 잎과 꽃을 거느린 봄나라에 이른다 [태헌의 한역] 冬樹(동수) 踏悲去人到歡國(답비거인도환국) 踏苦去人到樂國(답고거인도락국) 樹木黙經風雪冬(수목묵경풍설동) 終及葉花滿春國(종급엽화만춘국) [주석] * 冬樹(동수) : 겨울나무. 踏悲去(답비거) : 슬픔을 딛고 가다. / 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