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퇴출위기 디젤차가 생존한 비결은 DPF, 친환경 관리법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이른바 ‘디젤 게이트’ 사건 후 부정적 인식 확산으로 디젤차가 퇴출의 뒤안길로 가는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수입 디젤차 열풍도 ‘디젤 게이트’가 터진 2015년에 정점을 찍은 이후 내리막길이다. 반면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 등 정책적인 변화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은 친환경 차 출시를 늘리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경유차의 신규 판매 대수는 28만1835대로 2년 전과 비교해 32.9% 급감했다. 우리나라는 연료 가격과 연비와 출력 때문에 한때 경유차를 유난히 선호했다. 2,400만대가 넘는 자동차 중에서 약 42%인 약 1천만 대가 경유차이며 그중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가 아직도 전국적으로 약 190여 만대나 운행되고 있다. 경유차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에서도 자동차 전체 배출가스 중 미세먼지의 발암 기여도가 84%라고 보고된바 있는 1급 발암물질 제조기다. 경유차는 휘발유 엔진보다 고온 고압 상태로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불완전 연소 현상이 자주 일어나므로 이에 따른 질소화합물과 입자상 물질이 휘발유보다 더 많이 생성된다. 퇴출 위기에 몰려있는 경유차가 지금까지 생존한 비결은 백금촉매인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덕분이다. 고가(高價)의 백금촉매는 연료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각종 물질이 쌓여 필터가 막혀버린다는 것이다. DPF는 관리 부족으로 고장이 나면 연비와 출력 저하는 물론 심하면 파손으로 화재 위험도 있다. 연료만 태울 때보다 엔진오일이 함께 타게 되면 불순물의 발생 정도가 더 높아진다. 불순물 중에는 금속성 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