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동호회 총무와 스토리노믹스

    (101-32) 동호회 총무와 스토리노믹스 최근 들어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졌다. 스토리텔링이 문사철 중심의 인문학 분야에서 예전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던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제는 비즈니스에서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왜 그렇게 됐을까? 우선, 예전에는 상품을 만드는 기술이나 상품의 질에 차이가 컸지만 이제는 품질의 평준화가 이뤄져 이것만으로는 부족해졌다. 둘째, 사람들은 살면서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

  • 동호회 총무와 안나카레니나법칙

    (101-14) 동아리 총무와 안나카레니나법칙 :   진화생물학자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이름 붙인 ‘안나카레니나의 법칙’이란 게 있다. 톨스토이의 동명 소설이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란 구절로 시작하는 데서 착안한 것이다. 한 마디로 잘 나가는 집안은 화목하고 넉넉하고 걱정 없는 등 모두 비슷하지만 잘 안 되는 집안은 말도 많고 탈도 많아 천차만별이란 현상을 담은 법칙이다. 그 내막을 더 깊이 살펴보면, 갈등의 내용도 다양하고, 이유도 많고, 상처도 많다. 가족들끼리 서로 얼굴을 보고 이야기하거나 같이 식사하는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어쩌다가 마주하는 순간에는 부정적인 말로 서로에게 상처만 잔뜩 준다. 따뜻한 대화는 없고, 마음에서 독만 내뿜고 있다. 모처럼 대화를 시도해도, 서로 상처만 주고받고, 욕설과, 폭언과 무시하는 말로 끝내는 것을 본다. 여기서 톨스토이가 말하려고 했던 것은, 결혼 생활이 행복해지려면 수많은 요소들이 성공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행복에 필요한 많은 요소들 중에서 어느 한 가지라도 어긋난다면 그 나머지 요소들이 모두 성립하더라도 그 가족은 불행할 확률이 높다. 서로에게 매력을 느껴야 하고 경제적 상황, 자녀 교육, 인척 등등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합의하고 만족하도록 노력하여야 비로소 행복한 가정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로 회사의 사내 동아리나 동창회와 같은 비공식 조직의 모임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동아리들은 누가 억지로 끌어당길 수 없다. 자기가 좋아야 나온다. 그것은 회사내의 모임이라도 공식적 조직인 부장, 과장이 이끄

  • 동호회 총무와 그레셤의 법칙

    (101-13) 총무와 그레셤의 법칙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는 말이 있다. 쉽게 말해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뜻인데, 영어로는 'Bad money drives out good money.'이다. 16세기에 영국에서 활동했던 금융가 토머스 그레셤이 이러한 말을 했기 때문에 '그레셤의 법칙 Gresham's Law'이라고 부른다. (……) 이처럼 악화가 양화를 몰아내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한다. 악...

  • 총무와 행동경제학

    총무와 행동경제학 행동 경제학의 주창자인 허버트 사이먼은 인간이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다는 것을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rionality)' 개념으로 설명한다. 사이먼은 경제학은 제한된 합리성을 가진 인간을 연구해야 하며 최적화 원리보다는 본인이 원하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선택한다는 만족화 원리에 입각하는 것이 맞다는 절차적 합리성도 주장했다. 또한 그는 의사 결정에 있어서 주류 경제학이 철저히 무시하는 감정의 중요성도 역설했...